비명을 찾아서 - 상 - 京城, 쇼우와 62년 문학과지성 소설 명작선 13
복거일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년 전부터 환타지 소설을 비롯해서 가상 소설이 많이 등장하는 거 같다. '~~~~이라면 '이라는 가정아래...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는 대단한 작품임에 틀림없다. 요즘 쓰여진 작품이라면 뭐 새로울 게 없겠지만 거의 15년 전쯤에 쓰여진 작품으로 지금 읽어도 낡았다는 느낌을 주지 않고 오히려 신선할 정도이다.

우리나라가 일본의 지배하에 놓이게 된다면... 바로 이 책의 가정이다. 당연히 언어도 없어지고, 문화재도 없어진다. 일본어가 국어다. 반도인(한국인)들은 내지인(일본인)들에게 열등감을 느끼고 차별대우를 받는다. 반도인 여자들은 내지인 남자와 결혼하는 게 꿈이다.

주인공 히데요는 반도인이며 평범한 회사원이면서 시인이다. 시인에게는 언어가 생명인데...그런 히데요는 어느 날 우연히 조선어와 조선 역사에 대해서 알게 된다. 그리고 충격!!! 조심스럽게 조선어와 역사에 대해서 공부해 나가다가 결국 사상범을 붙잡히고, 자신의 가정을 파탄을 낸 일본인 소좌를 죽이고 길을 떠난다. 임시정부가 있었다던 상해를 향해...

처음에는 뭔가 심상치 않은 게 나올 거 같아 잔뜩 긴장하면서 읽었는데, 비교적 줄거리는 간단했다. 그래도 작가의 입담이 좋았고, 간간힌 나오는 시를 읽는 재미도 좋았다.

그러나 아쉬운 점이라면 처음에는 속도가 느리고 이야기가 장황하게 이어져서 큰 사건이 벌어질 줄 알았는데, 히데요가 조선어와 역사를 알고 충격 받는 부분도 너무 빠르게 진행되어서 어색한 느낌을 줬다. 그리고 일본인 소좌를 죽이고 상해로 향해 떠나는 모습이 부자연스럽고 소설을 얼른 마무리 지으려는 느낌을 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