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의 역사를 따라 걷다
김경일 지음 / 바다출판사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제목이 좋아서 찾았는데, 내용마저 나를 매혹해 한, 멋진 저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漢字의 역사를 따라 걷다
김경일 지음 / 바다출판사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처음엔 그냥 제목이 좋았었다. 그러나 첫페이지를 여는 순간, 간단하지 않았다.  

김경일 교수의 내공이 물씬 풍기는 어투와  

진지한 논의의 전개에 빠져드는 것은 금방이었으며,  

한자학 관련 공부를 하고 있는 리뷰어로서도  

일반적인 교양수준과 전공수준을 적절히 넘나들며 해박한 사항을 전개해내는 서술에  

감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역사책방 6
신성곤, 윤혜영 지음 / 서해문집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자있습니다. 21쪽 하단 그림설명에서 오른쪽->왼쪽, 왼쪽->오른쪽으로 바꾸어야 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갑골학사 동문선 문예신서 57
오호곤 & 판유 지음, 양동숙 옮김 / 동문선 / 2002년 5월
장바구니담기


    이책의 차례 TOP
      1. 갑골문의 발견, 수집과 전파
      2. 은허 발굴과 기타 지역의 고고 발견
      3. 복갑과 복골
      4. 복법과 문례
      5. 문자
      6. 문법
      7. 단대
      8. 진위 감별과 조각맞추기
      9. 갑골문과 다른 학문과의 관계
      10. 갑골문과 다른 학문과의 관계
      11. 갑골문 연구의 회고

      이책의 내용 TOP
      갑골문은 중국 문화 정수 중의 하나로서 중국 고대 문화 발전중 최고봉을 이루었다. 그러므로 갑골문이 지고의 학술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훌륭한 인재들을 갑골문 영역으로 끌어들여 연구에 매진케하는 무한한 매력을 가지고 있음을 충분히 증명해 주고 있다. 이 책은 이 분야에 처음 발을 딛는 초학자들에게 징검다리가 되어 줄 것이다.

      작가의 소개 TOP
      우 하오쿤(吳浩坤)
      1956년 상해 복단대학 역사학과를 졸업하였다. 수년 동안 갑골문을 연구하였고, 현재 복단대학 물리여박물관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고문자학. 역사문헌학을 강의하며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판유
      1957년 상해 복단대학 역사학과를 졸업하였고, 선배인 오호곤 교수와 결혼하였다. 상해 화동사범대학에서 갑골학을 강의하였고 <금문대자전>의 편집을 맡는 등 왕성한 연구를 하였으나, 1999년 지병으로 작고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김봉태 지음 / 삼우사 / 2002년 9월
평점 :
품절


1.훈민정음 해례 분석---5

1)훈민정음 해례---5

2)훈민정음의 음성학적 분류---10

3)분석 내용 요약---11

2.훈민정음의 기원설 분석---13

1)고전기원설---13

2)범어 문자 기원설---18

3)서장 문자 기원설---21

4)원나라 문자 기원설---24

5)분석 내용 요약---26

3.범어, 티벳, 파스타 문자와 한글의 글자 모양 비교---27

1)한글 표준어 19개 자음과 3개 문자의 자음---27

2)훈민정음 5개 자음과 3개 문자의 자음---33

3)한글 7개 단모음과 3개 문자의 자음---35

4)한글 4개 이중모음과 3개 문자의 모음---38

5)내용 요약 및 소결론---40

4.4개 문자의 음성학적 음운 체계와 글자 모양 비교---43

1)범어 문자와 티벳 문자---43

2)범어 문자와 한글---49

3)티멧 문자와 파스타 문자---59

4)범어 문자와 파스타 문자---64

5)티벳 문자와 한글---68

6)파스타 문자와 한글---72

7)내용 요약 및 소결론---80

5.범어 문자와 한글의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비교---89

1)자음의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89

2)모음의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98

3)비교 내용 요약---101

6.맺음말---1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