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재즈
토니 모리슨 지음, 최인자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빌러비드> 이후 ‘재즈의 시대‘를 다루고자 했던 토니 모리슨. 말하기 방식도 재즈의 구조를 닮았다. 즉, 주요한 인물은 존재하지 않고 목소리는 다성적이며, 이야기는 시간이 갈수록 정교하게 구축된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재즈는 음악만이 아닌 ‘삶의 양식‘이며 글쓰기의 방식이 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디의 끝
에두아르 루이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편으론, 의미의 명료성과 문장의 유려함으로 대변되는 출판번역계의 관행을 비판적으로 인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가깝게는 에두아르 루이의 작품이 갖는 아니 에르노와의 긴밀한 연관성, 멀게는 부르디외 사회학과의 상관성을 인식한 번역가의 손에서 탄생한 번역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우연한 고양이 문지 에크리
이광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리'와 '일다'라는 이름을 가진 고양이와의 삶이 가져다주는 새로운 감각의 세계를 그 삶이 허락한 리듬으로 써내려간 에쎄(essai). 작가로서는 필연적인, 불가피한 고독의 시간이 고양이에 대한 관찰와 사유로 이어지면서 아무에게나 허락되지 않는 문학적 공간을 생성해낸다.


작가의 본래의 것인지 고양이에게 동화된 것인지 구분이 엄격히 되지 않을 정도로 글의 리듬은 예의 장모종 고양이의 그것과 유사하다. 고양이에 대한 관찰은 사실상 고양이의 행동이 지닌 고유한 리듬을 습득한 자의 무의식적 리듬을 보여주는 일종의 카메라 워크인 것이다. 어떤 관계가 형성된다는 것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세계가 우리 몸 속에 구조화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관찰에서 사유로, 그것은 두 고양이와의 만남과 관계 만큼이나 우연적이고 미스테리한 형태로 출현한다. 어떤 글이 지닌 직관의 결은 글을 읽는 사람을 순간적으로 소외시키곤 하지만, 또 어떤 글은 직관의 결을 따라 그 글이 쓰여진 상황 속으로 우리를 홀연히 데려간다. 후자의 형태에 가까운 글을 따라 이르게 된 어떤 상황과 그 속의 누군가가 되는 순간, 우리는 그러한 관찰과 사유가 가능했던 자의 존재론적 상황과 조우한다. 숙고되었으나 별안간 찾아온 표현들 속에서 한 개인은 이 세계에 온 자의 숙명, 즉 존재의 우연성을 응시하게 되는 것이다. 고독의 시간은 제법 문학적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정한 장소 아니 에르노 컬렉션
아니 에르노.미셸 포르트 지음, 신유진 옮김 / 1984Books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문제적 작가인 아니 에르노의 (아마도 마지막일) 결정적 대담집. 그녀의 ‘사회학적 문체‘의 유래를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작 <세월>이 지닌 기획과 의도를 가늠할 수 있게 한다. 다만, 그녀의 인생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두 사람 중 피에르 부르디외에 대한 역주의 설명은 아쉬움을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