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선교의 혁명
K. P. 요하난 지음, 임승환 옮김 / 예영커뮤니케이션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K. P. 요하난은 인도 사람이다. 그는 불교의 발상지이지만 지금은 힌두교가 국민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나라에서 태어났다. 6형제 중 어머니의 기도로 유일하게 주님의 일을 하게 된 사람이라고 한다. <세계 선교의 혁명>은 그가 만든 아시아복음선교회(Gospel for Asia)의 선교 보고서이자 그의 제2/3 세계 중심의 선교사관이 응축되어 있는 책이다. 지금까지의 선교사(宣敎史)가 기독교 선진국 중심의 선교사관(宣敎史觀)이었음을 볼 때 그의 관점은 혁명임이 분명하다.

   선교의 어려움은 새삼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더욱이 인도와 같은 기독교 소수 지역에서의 그것은 더 말할 나위가 없겠다. 요하난은 그런 악조건 속에서도 인도에서 또 해외에서 하나님만 의지하여 정진(精進)해서 많은 영적 축복을 받은 사람이다. 자국(自國)인 인도의 사역에서보다도 초청을 받고 미국을 방문해서 보고 느낀 것에서 선교의 문제점을 심각하게 제기하고 있다.

   그는 먼저 물량주의 선교사관을 비판하고 있다. 자본주의 사회의 특징은 물질적 풍요와 개인주의로 집약할 수 있다. 미국 사회가 대표적인 나라이다. 그들의 경제적 풍요에서 오는 낭비는 주님 앞에 죄 짓는 일임을 그는 강조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주신 풍성함의 축복을 그는 빈곤한 나라 국민과 나누라고 주문하고 있다. 아시아의 미전도 종족들을 위해 미국의 성도들이 깨어 기도하고 물질로 도우라고 호소하고 있다.

   두 번째로 그가 지적하는 것이 교회의 세속화이다. 세상 풍조를 따르는 교회의 흐름이 복음을 상실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고 있다는 것이다. 신앙의 본질이 훼손되고 있는 세계 기독교의 현실을 그는 마음 아프게 걱정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사회복음의 문제이다. 그는 사회복음이 종교적인 옷을 입고 기독교 단체 내에서 사역이 이루어진다고 해도 근본적으로 영적인 전쟁을 육적인 무기로 싸우는 우를 범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지적한다(122쪽). 사회복음에 대해 그가 이런 경계의 의견을 내어놓는다 해서 약자에 대한 그의 마음이 닫혀 있는 것은 전혀 아니다. 그는 많은 성경 말씀에 기초해서(레 19:18 ; 사 1:17 ; 58:10-11 등) 궁핍한 자들을 향한 긍휼과 가난하고 억눌린 자들을 위한 사회 정의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기 때문이다(134쪽).

   요하난의 시각은 냉정하다. 지금 우리에게는 부흥이나 개혁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하늘로부터 임하는 기독교적 혁명이 필요할 때라고 말한다. “참된 복음의 길로 되돌아가자!”는 구호로 대변되는 혁명은 사람들에게 회개를 촉구하며 그들을 지옥불로부터 구해 내는 일에 최우선을 둘 때 열매를 거둘 수 있게 된다(153쪽).

   요하난은 전통적 선교, 즉 백인 선교사들이 피선교지에 파견되어 주님의 일을 하는 시대는 지나갔다고 단언한다. 선교는 그 나라의 현지인에게 맡기라는 것이다. 아시아 아프리카의 많은 현지인 선교사들이 그 역할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시대가 왔고 또 그렇게 훈련 받고 있는 사실의 중요성에 그는 주목한다. 그렇다고 미국 등 선진국들의 할 일은 없는가? 아니다. 더 중요한 것, 즉 재정적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다(176쪽). 사역은 현지인들에게 맡기되 아무 조건 없이 물질적 필요를 채워줄 수 있어야 한다고 그는 주장한다. 이것이 미국 등 선진국이 할 역할이라는 것이다.

   K. P. 요하난의 문제 제기는 미국을 위시한 신앙 선진국에 던지는 목소리이긴 하지만 우리라고 그의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왜냐하면 세계 선교 대국(미국에 이어 2위)으로서 신앙 선진국의 선교 양태와 신앙 모습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목소리는 우리에게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문제 제기가 되는 것이다. 자국(自國) 중심의 선교사관, 물질적 풍요 속에 세속화로 치닫고 있는 교계 분위기, 개인주의에 매몰되어 신앙공동체적 사랑이 사라지고 있는  점 등이 바로 1세기 전 신앙 선진국의 풍토를 그대로 이식해 놓은 듯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오늘 우리에게 주는 경고가 담겨 있는 것이어서 보는 이로 하여금 자세를 새롭게 가다듬게 하는 역할을 톡톡히 해 주는 의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