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속을 약속합니다 - 평범한 사람의 인생을 바꾸는 책쓰기의 기술
안동윤 지음 / 북랩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관도 열지 않고 앞에 책을 두고 갔다.호연(浩然)안동윤 선생은 이런 사람이다.아호에 어울리지 않게 여리고 겸손하다.연락을 취하고 만나 글쓰기 얘기를 나누면 대화가 장강을 이룰 수 있을 텐데 말이다.


<아빠의 아버지>(북랩)를 출판하고 나에게 물었다. "목사님,저 작가로 불릴 소질이 있을까요?"그의 첫 저서를 받아 읽고, '불릴 수 있을까요'(미래형)가 아니라'이미 훌륭한 작가입니다'라고 대답했다.


해방둥이 안동윤 선생.책 출판 뒤 삶에 생기가 도는 것 같았다.높은 산을 등정하고 온 산악인이 저런 표정이었지.그리고 얼마 뒤,너무 외져서 샹그릴라를 연상케 하는'카페 풍경'에서 점심 식사를 같이 했다.


"두 번째 책이 곧 출판될 것 같습니다.제목까지 나왔습니다. '약속을 약속합니다.'어떻습니까.하하하"


이 제목도 안 선생이 직접 정했을 것이다.그의 글을 읽고 대화를 하다 보면 그가 단어의 조련사라는 것을 알 수 있다.언어유희를 즐기고 특히 유어반복을 좋아한다. '아빠의 아버지', '약속을 약속합니다'


내용을 일별했다.한 어절로 정리한다면'책 만들기 안내'가 될 텐데 동시에'글쓰기 가이드'라고 할 만한 내용도 충실히 담고 있다.자신이 겪은 일이 소재가 되기도 하고,과거사의 한 자락을 가져와 설득력 있게 묘사하기도 한다.


책을 훑어보면서 실학자 유형원의<반계수록(磻溪隨錄)>이 떠올랐다. ‘수록은 겪은 일을 메모해 두었다가 자연스럽게 정리한다는 뜻이다.표지 안의 저자 약력만 봐도 간단한 삶을 살아오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간단하지 않은 삶은 다양한 경험을 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어떤 때는 즐기면서 또 다른 때는 심한 시련을 겪으면서 세파를 헤쳐 나왔다는 뜻이 된다.그만큼 소재가 풍성하고 서술이 자유롭다는 뜻이다.


그의 글쓰기는 모자이크를 맞추어 가듯 경험을 상기해서 맞추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이른바 추체험(追體驗)이 될 텐데,글 뒤의 배경까지를 상상하며 읽으면 독서삼매의 맛이 배가된다.아주 쏠쏠하다.


<약속을 약속합니다>에 담은 내용이 체험의 다는 아닐 것이다.그럼에도3백 쪽이 넘는 분량의 책을 상재했으니 대단한 일이 아닐 수 없다.지역 신문에 글을 기고할 때'작가'라는 타이틀을 붙여도 손색이 없다.


속담,영어 약자,한국어 준말,사자성어,옛시조,틀리기 쉬운 단어 등 과거와 현대를 아우르는 관습어 활용은 글쓰기에 좋은 서비스 자료이다.들어가는 말과 마치는 말을 빼고136꼭지의 글이 실려 있다.


글을 읽으면서 굳이 장르로 갈래 짓자면 어디에 해당할까 생각해 보았다.붓가는 대로 쓴 글이니 수필에 해당될 것은 분명하다.그런데 글의 분량이 짧디 짧다.한 쪽에 두 제목의 글도 있고,길어도3쪽을 넘지 않는다.


요즘 잘 사용하진 않지만'손바닥 장()'자와'책 편()'자를 합한'장편'이란 문학 장르가 있다.손바닥 안에 들어갈 만큼의 분량이란 뜻으로 짧은 산문을 일컫는다.서양의 콩트(conte)와 유사한 글이다.


안동윤 선생의<약속을 약속합니다>장편(掌篇)수상(隨想)’으로 독자에게 여러 가지 유익을 준다.또 얼마 지나지 않아 연락이 올 것이다. “목사님,저 세 번째 저서 상재했습니다.한 번 읽어봐 주셔야죠.”


앞에서 실학자 유형원의 <반계수록>을 언급했다. 쓰고 싶으면 쓰고, 말고 싶으면 말고... 조용한 곳에서도 자연스럽게 글을 만들고, 복잡한 가운데서도 무념(無念)의 마음으로 문장을 이어가고... 물론 겸양지사다. 그렇다면 안 선생의 이 책을'호연수록(浩然隨錄)'이라고 불러도 결례는 안 될 듯.


안 선생의 이 책은 다음과 같은 분들에게 더욱 절실한 책이 되지 않을까 싶다.자신의 책을 출판하고 싶은 사람,글을 쓰고 싶은데 생각처럼 잘 되지 않은 사람,책 내용을 간접 경험함으로 지식을 넓히고 싶은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강추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