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 곡예사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중공예사>를 읽기 전까지 나는 폴 오스터의 진면목을 알지 못했다. 대신 그에 대해선 좋지 않은 선입견을 갖고 있었다. 돈을 벌기 위해서 이런저런 글을 닥치는 대로 쓰고-심지오 포르노물까지, 허접한 게임기까지 개발하여 돈벌이에 열심이었던 인물 정도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 작품을 읽고 그의 문학에 대한 열정과 글쓰기에 대한 성실함을 느꼈다. 그리고 그의 팬이 됐다. 좋은 작가를 알게 되는 기쁨을 누렸다.

번역이 잘 된 탓도 있으리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공중곡예사>의 글을 읽고 있노라면 작가의 한 문장 한 문장에 쏟은 열정이 느껴진다. 한 대목의 대화라도 허투로 쓴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어떻게 이런 글을 쓸 수 있지?'하는 궁금증은 역자 후기에서 밝힌 폴 오스터의 글을 읽고 풀렸다.

'이 책을 쓸 동안 나는 오로지 월트만을, 그의 의식과 그 의식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만을 생각했다' '나는 늘 누가 무엇을 하건, 자기가 하고 있는 일과 자신을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열심히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문제는 자아가 사라지게 하는 것이다. 우리가 자신의 내면에 있는 것을 가장 분명하게 표현할 수 있을 때는 자신에 대해서 생각을 하지 않는 순간이다. 그것은 역설이지만 나는 그렇게 믿고 있다' 폴 오스터는 이런 자세로 이 작품을 써내려갔던 것이다. 이런 성심함만으로도 작품성을 따지기에 앞서서 그에게 찬사를 보내고 싶다.

월터가 보였던 공중부양술은 일종의 상징이리라. 뼈를 깎는 연습을 통해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할 기술을 익히는 것. 그것으로 인생의 승부를 건다는 것.그런데 그 능력이 하루아침에 사라졌을 때 어떻게 해야 한다는 것 등. 대동소이한 작품에 대한 감상은 생략하기로 하고... 마지막 장을 넘기기 아쉬은 유쾌한 작품이었고, 폴 오스터의 다른 작품을 읽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하는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