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놈 - 23장에 담긴 인간의 자서전
매트 리들리 지음, 하영미 외 옮김 / 김영사 / 2001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 인간은 호기심이 많은 존재다. 먹고 사는 데 별 도움이 안 되는 것까지 그 영역은 한이 없다. 바로 그 점이 다른 생명체들과 다른, 인간을 특징지운 가장 중요한 것일 것이다.

그러한 인간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 중에 두 가지가 '인간은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가는가'하는 거시적 궁금증에 대한 문제를 푸는 분야인 천문학과 '우리 인간은 어떻게 만들어져 있으며, 왜 이렇게 생각하고 행동하는가'하는 미시적인 문제, 즉 우리 몸 자체적인 분야를 연구하는 생물학(분자생물학)이 아닐까 한다.

이 책은 당연히 후자를 다룬 흥미진진한 책이다. 휴먼 게놈과 단백질에 대한 연구 자체가 아직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궁금증을 모두 해소할 수는 없지만, 막연한 궁금증을 구체적인 것으로 해주는 역할을 하기엔 충분하다.

다른 건 다 빼고라도 '인간에게 치명적인 유전 관련 병들에 대한 연구' '영생에 관여된 유전자에 대한 연구' '성격에 관여하는 유전자에 대한 연구' '유전자끼리의 경쟁' '생쥐가 인간과 비슷하다는 연구(인간은 고급 생쥐일 뿐이다)' 등(이외에도 많다!)은 여느 소설 못지 않은 흥미를 독자에게 선사한다. 대체 무슨 얘기이길래... 하고 의문이 드시면 함 직접 읽어보시라. ^^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인간 개개의 개체가 진화해가는 것 뿐만이 아니라 인류 전체가 진화해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발상을 하게 됐다(바로 이 책의 서평을 쓰는 순간에. 책을 읽고 그냥 던져 두는 것보다 서평을 쓰는 점이 이래서 좋다!).

무슨 얘기인가 하면, 우리 인간 각자는 각자의 관심과 능력이 있다. 이러한 개개의 '기능'들이 살수록 분화되고 전문화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내가 분자생물학을 연구하지 않더라도 그것을 남들이 해줌으로써 인류전체가 세포를, 우리의 설계도를 조작할 능력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문화된 지식들을 컴퓨터, 책 등의 보조기능 등을 동원하여 공유하며 발달(진화)을 가속화하여 간다. 이러한 현상이 바로 호모사피엔스라고 하는 인류 전체의 진화가 아니고 무엇인가.

게놈에 대한 연구를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것에 비유하는 사람들이 있다. 행복도 주었지만 불행도 초래했다고 하는 판도라의 상자. 행복의 측면을 생각할 때, 게놈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된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 자체, 그 결과를 지켜볼 수 있는 세대라는 것 자체가 가슴을 설레게 한다. 그러나 불행의 측면을 생각할 때, 이것으로 인류는 스스로 멸망의 길에 한 발짝 발을 들여놓게 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도 하게 된다. 그러나 '뭐가 무서워 못하랴' '억제는 최고의 죄악이다'라는 말을 생각한다. 부정적 측면 때문에 엄청난 가능성(생명에 대한 근원적인 의문을 풀며, 질병을 없애고 영생을 얻을 수 있다는 가능성들)을 포기한다는 것이 진정한 죄악이라고 생각하면서 말이다. 설령 인류가 혼란과 파국을 맞이한다고 해도 나는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류가 수억 년의 세월 속에서 생존을 위해 진화해왔듯이 아무리 어려운 문제가 생기더라도 충분히 극복해낼 지혜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