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야의 중국견문록
한비야 지음 / 푸른숲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는 장점 중에 하나가 간접체험일 것이다. 여행의 체험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뛰어넘어 언제든지 책을 펼치면 원하는 곳을 여행할 수 있다. 백문이불여일견이라, 비주얼하지는 못할 지라도 어떤 의미에서는 더 생생히, 개인적으로 느끼고 생각할 수 없는 것까지 책은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한비야의 중국견문록은 우리를 2000년대 초기의 중국을 여행할 수 있게 해준다. 저자가 머물렀던 숙소 부근의 풍경, 그가 다녔던 어학학원과 청화대의 구석구석을 같이 느낄 수 있다. 저자의 톡톡 튀는 글솜씨는 '내가 직접 보았더라도 이렇게 실감나게 표현할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만큼 독자를 현장으로 이끈다.

이 책에서는 독자가 어떤 관점으로 접근하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를 건질 수 있디. 우선 첫째가 중국 풍물이다. 연 9퍼센트로 성장하고 있는 경제력, 그로 인해 생겨난 부자 그리고 그런 급격한 경제성장의 그늘에 있을 수밖에 없는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의 모습들. 현대와 오지가 공존하는 아직은 불안정한 중국의 실상을 손에 잡히는 듯 읽을 수 있다.
두 번째는 자신이 하고자 하는 바를 하나씩 하나씩 이루어가는 사람의 의지(그리고 덧붙여 올바른 어학공부방법까지!)이다. 나이 40이 넘어서, 여자(게다가 미혼! ^^)가 새로운 언어(게다가 중국어를!)를 배우기 위해 단신으로 외국생활을 할 엄두를 낼 수 있을까? 그런데 저자는 과감히 그런 일들을 해치운다. 저자는 그런 사람이다. 이 책에서는 그런 사람의 일상을, 중국어를, 그들의 문화를 배우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약한 몸으로 악전 고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나는 책을 읽고, 나도 새로 외국어 하나 배워? 나도 외국 여행을 해볼까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단순한 충동이 아니라 '나는 나의 생을 저자처럼 내 의지대로 살고 있는가'하는 점을 심각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저자의 의도에 완벽하게 걸려든 셈이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글을 쉽고도, 강렬하게 쓸 줄 안다.

한 권의 책이 여러 가지 주제를 담고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한 권의 책이 독자들마다 다양한 인상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다양한 주제를 소화해내기에는 너무 얇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단점을 굳이 들라면(비판도 훌륭한 서평이 될 것이므로 ^^), 다루는 소제에 대해서 너무 글들이 짧다는 것이다. 나는 좀더 많은 것을 알고 싶은데 너무 빨리 끝을 내버리는 것이 아쉬웠다는 얘기. 그리고 출판을 서두를 탓이었을까? 비슷한 표현을 중복되게 쓴 부분도 두세 곳 발견된다. '이거 같은 글이 중복되게 편집된 거 아냐?'하고 확인해볼 정도. 다른 책이라면 이런 단점은 치명적인 인상을 책 전체에 미치리라. 그러나 이 책에선 '아쉬움'정도로 느꼈다. 아마 대상에 대한 저자의 '확고한 생각' 탓일 것이라고 관대히 생각했다.

이제 저자는 40대 중반을 훌쩍 넘었으리라. 그리고 새로 시작한다는 월드 비전에서의 활동도 이젠 본격적으로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저자여, 무리한 부탁인 줄은 알지만, 중국에 한 번 더 다녀오시라. 그리고 한 500페이지 이상 되는 두터운 책에 님이 보고 듣고 느낀 중국에 대해서 다시 글을 써달라. 이제는 어학공부에 대한 생활이 중심이 아닌 관찰의 대상에 집중된 생활을 위주로 글을 써달라. 충분히 엄청난 작품이 탄생될 것이라 확신한다.

햇빛을 쬐고 있으면 온몸이 따뜻해진다. 명랑하고 유쾌한 성격에다가 말까지 잘하는 사람과 같이 있으면 덩달아 즐거워진다. 한비야, 저자는 햇빛과 같은 사람이 아닐까. 삶의 에너지가 충만되어 있고 그 에너지를 자신의 의지대로, 목표대로 분출하면서 주위의 사람까지 전염시키는 사람, 그가 쓴 글을 읽으면 덩달아 독자도 그를 닮고 싶어지는 그런 사람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