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 (양장)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강명순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발간되자마자 30여 개 언어로 번역이 되고 전세계의 독자를 사로잡은 책이라는 말에 속았다. 뭐가 그리 대단한지 난 솔직히 아직 모르겠다.

냄새가 없는 사람이 있을 수 있을까? 냄새에 천부적 재능을 가진 사람이 있을 수 있을까? 냄새에 이끌려 사람이 정복당할 수 있을까? 사람의 냄새를 채취해낼 수 있을까? 사람의 냄새를 채취하기 위해서 25명을 죽일 수 있을까? 이 모든 것이 너무도 황당하지 않은가. 그래도 '일단 손에 잡은 책은 완전히 읽고야 만다'는 나의 주의 때문에 중간에 집어던지려던 생각을 억누르며 읽었다. 그리고 다 읽고 마침내 집어던졌다. 쓰레기! 광고와 마케팅이 전세계의 독자를 속였어! 하고 외치며.

그래도 속은 것이 아까워 책이 상징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찾으려 애썼다. 비참하게 탄생한 그루누이(아비가 누군지도 모른 채 생선가게의 한 구석에서 생선칼로 탯줄이 잘리며 태어난다!)는 냄새가 없다. 그래서 남과 다르며, 이 남과 다른 치명적인 결점 때문에 타인과 섞이지 못한다. 그래서 그루누이는 냄새에 집중한다. 냄새를 개보다 잘 맞고 원하는 냄새(향수)는 무엇이든지 만들 수 있는 능력까지 소유하게 된다.

사람들은 대개 자신이 남과 다르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 다르다고 생각하는 방향은 '상대적으로 우월하다'는 것과 반대로 '열등하다'고 하는 쪽이 있을 수 있다. 그루누이는 후자 쪽이다. 자신에 냄새가 없음으로써 인간세상에서 철저히 소외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점을 보완하고자 초인적인 노력을 하며 남과 같게 되고자 시도한다. 그리고 마침내 그렇게 됐을 땐 남을 지배하려 한다.

그리고 지배하게 됐을 땐 영원히 그것을 소유하려고 한다.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은 이미 정상이 아니다. 미친 것이다. 미친 생각은 광기의 행동을 낳는다. 자신 한 명의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많은 사람의 생명 빼앗는다. 다른 사람의 인생은 자신을 위해서 존재해야 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차라리 태어나지 말았어야 하는 독소적 존재이지 않은가. 쥐스킨트는 이것을 풍자적으로, 우회적으로 표현하려고 한 것일까?

이상이 내가 '향수'에서 억지로 건진 것이다. 소설은 독자가 그것을 읽으며 재미를 느꼈다면 일차적인 소임을 완수한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대단한 명성'엔 그 만한 이유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안타깝게도 나는 그 대단한 명성의 이유를 찾지 못했다. 책을 읽는 내내 '벌거벗은 임금님'이라는 동화가 생각났다. 아닌 것은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와 정직함이 필요하지 않을까?

기발한 데서 소재를 찾을 줄 알며, 이야기 전개가 뛰어나다는 점은 쥐스킨트의 뛰어난 점이라고 말하고 싶다. 그러나 그런 작가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책에 대한 나의 혹평은 어쩔 수 없다. 가볍게 읽되 책의 명성을 생각하며 무언가를 구하려 하지 말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