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얼마나 함께 - 마종기 산문집
마종기 지음 / 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얼마나, 

함께. 

 

이들은 떨어져 있을 때면 외로우나, 붙여 쓰면 다정한 포옹과도 같은 낱말들이다.

 

그는 의사였지만 가운을 입기 전부터 시인이었다. 

황동규, 김영태 등과 함께 80년대 서정시 바람을 몰고 왔던 시인 마종기가 아득히 떨어진 이역만리에서 삶을 돌아 보며 44편의 짤막한 후일담을 묶어냈다. 방사선과 의사로, 우리 말을 매만지고 발음하는 시인으로 마종기는 긴 시간을 살아냈다. 그곳에서 모국어에 대한 정겨움과 그리움이 알 수 없는 화학작용을 일으켰으리라. 그가 두 가지 일중 어느 하나라도 놓쳤더라면 불행했을 것만 같은 생각이 든다.

생업과 시는 그냥 한 몸의 지체일 뿐이다, 적어도 마종기에게는.

 

이 시인의 산문집은 수식의 관(冠)을 내려 놓는다.

꾸밈이란 그에게 맞지 않는 옷이다. 천성이 진솔한 그에게 정치적인 편향성이나 격문을 기대하지는 말아야 한다. 그는 다만 먼 곳의 떠돌이였고, 때로는 정신적 유배자였다. 시인의 삶을 살아내면서 그 유형지는 삶의 터전이 되었으며, 안온한 양식의 거처가 되었지만 여전히 그는 미국에서 태어나 우리 말이 넉넉치 못한 자식들을 안타까워 한다. 시인의 자식들의 모국어까지 감당할 수는 없을 것이로되 그 부끄러움은 다만 속절없어 보였다. 

 

세상을 떠난 아버지(아동문학가 마해송 선생)의 뼈를 거두어 수목장을 치르는 시인은 깊이 슬퍼한다.

임종을 지킬 수 없었던 그에게 아버지란 이름은 도저히 잊을 수 없는 가르침이었고, 이제는 미완의 원고 처럼 남아 슬프게 한다. 그가 대학생이던 어느 밝은 달밤, 홀로 눈물 흘리며 라디오의 음악을 듣던 아버지를 그는 비로소 이해하게 되었다. 교교한 달빛 아래 흰 박꽃을 보시며 옷소매로 눈물을 황급히 훔쳐내던 아버지..

 

아버지가 내게 보낸 마지막 우편물은 돌아가시기 보름 전쯤 쓰신 것인데 맨 마지막 줄은 이렇게 끝이 난다.

"인생이 뜬구름이라지만 남의 나라에서 호강 호사한 생활은 더한 뜬구름이다. 수입이 없어 의식이 불편하더라도 내 나라에서 사는 것만도 애국하는 태도라고 생각하며 살고 있다.." (p.134)

 

시인은 기막히게 바빴던 병원생활 중 틈만 나면 한동안은 화장실에서도 울었고 병원 옥상에서도 울었다.

내가 따뜻한 영혼을 가지고 한평생을 살고 싶다면 남보다 많이 흘리는 눈물을 부끄러워 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p.080)

 

맑은 술 한잔을 앞에 두고 두런두런 풀어내듯 그의 글들은 너털웃음 처럼 맑다. 

진정성이야 말로 시든 산문이든 두루 통하는 미덕이다. 작고한 평론가 김현이 짐작했던 그대로다. 그의 시도 산문도 부유한 은퇴의사의 감상이 아니라 떠돌이의 삶에서 존재의 의의를 묻는 깊은 성찰임을 김현은 믿었다(마종기 시선/모여서 사는 것이 어디 갈대들 뿐이랴 p.80) 


그 믿음에 기꺼이 공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