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몰랐던 아시아
아시아네트워크 엮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우리가 살고 있는 바로 이 땅, 아시아에 대한 우리의 무지함을 일깨워 주고 있다. 무지한 게 아니라 관심조차 없었다는 표현이 더 잘 어울린다. 무지는 그 자체도 문제지만, 종종 진실을 호도하고 왜곡할 수 있는데, 책 첫머리에 나오는 ‘해묵은 거짓말’편을 읽다보면 이에 공감하게 된다.
마지막 세 분의 특별 기고문은 말 그대로 특별하다. 체 게바라의 후손들이 여기 아시아에 있구나 하는 생각을 떠올리게 하는데, 버마의 나잉옹 전 의장은 의사라는 직업 때문인지 더욱 체를 닮아 보인다. 구스마오 동티모르 대통령은 얼마 전 한 시민사회단체의 요청으로 우리나라에도 왔기 때문인지 괜히 친숙해 보인다. 야신은 얼마 전 이라크의 야만적인 '테러'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하마스 창설지도자로 강경 이슬람 근본주의자, 테러리스트로 불렸다. 나 역시 그가 죽고 그에 관한 기사를 찾아 읽기까지는 빈 라덴 쯤으로 여겼으니, 아랍인들이 알면 얼마나 통탄할 노릇인가.
민족주의에 관한 부분은 내가 가장 공감했던 부분이다. 세계화 세계화 하는데 정작 우리 자신은 얼마나 세계화되어 있을까? 민족주의는 양면의 얼굴을 가진다. 월드컵, IMF 때 보여 준 우리의 모습이 긍정적이라면, 편협한 민족주의는 남에 대한 배척, 편견으로 표출될 수 있다. 당장 우리나라에 와 있는 동남아 노동자들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 민족주의는 무의식적으로 몸에 배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자각하기란 쉽지가 않다. 특히 우리나라같이 단일민족인 경우, 이런 오류에 빠져들기 쉽다. 동남아 경제를 꽉 쥐고 있는 중국 화교가 유독 우리나라에서만은 기를 못 펴고 산다.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면서도, 이게 다 남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해 그런 게 아닌지 하는 우려도 든다. 우리가 남을 받아들이고 이해할 준비가 안 되어 있다면, 어떻게 남에게 이해해 달라고 할 것인가.
한 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너무 어두운 내용들 일색이라는 점이다. 아시아의 현실을 제대로 보자는 것이니 불가피한 측면도 있었겠지만. 너무 절망적이니 뭔가 위로할 안주거리를 찾아달라는 얘기는 아니다. 아시아에 이런 부조리들만 존재하는가?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가 보듬어 안고 살아가야 할 아시아인데, 그래도 뭔가 희망적인 얘깃거리도 있어야 하지 않을까.
유구한 역사에 비춰 봤을 때, 우리가 서양에 뒤쳐지기 시작한 것은 결코 긴 시간이 아니다. 우리의 생이 짧아 피부로 느끼기 어려울 뿐. 비록 이 책이 아시아의 아픈 환부를 들어내 보여주고 있지만 이로 인해 우리가 서로를 이해하고, 동질감을 느끼며, 상호 연대할 수 있다면 21세기가 아시아의 세기가 될 거라는 점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