맡겨진 소녀
클레어 키건 지음, 허진 옮김 / 다산책방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한번쯤 사랑하는 사람에게 거짓말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군것질을 하고도 하지 않았다는 사소한 비밀에서부터 임종을 앞둔 환자에게 해주는 하얀 거짓말, 또 때로는 돌이킬 수 없는 상처를 만들어내는 용서받을 수 없는 거짓말까지 우리도 모르는 우리의 거짓말이 평화로운 일상을 가장한 수면 아래를 유유히 돌아다닌다. 처음 <맡겨진 소녀>를 읽었을 때, 이 책을 관통하는 것 또한 일종의 거짓말이 아닐까 생각했다. 책 속에 나타나는 모든 장면과 행동이 침묵에 대해 강조하고 있지만 글쎄, 거짓말은 입을 열지 않을 때도 가능하다. 누군가는 절제된 표현을 통해 서로의 마음이 통하는 것에 매력이 있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나는 거짓이 굳이 입을 여는 순간에 국한되지 않고 진실을 말하지 않을 때, 도리어 입을 다문다고 해서 진실만 존재하지 않음을 안다. 그리고 그것이 선함이라는 대외적 가면을 뒤집어쓴다면 얼마나 교묘한 거짓말이 태어날 수 있는지 알았다. 이 소설의 분위기는 대체로 평화로운 분위기이지만 그것은 어른들 사이에서 침묵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이다. 물을 긷고, 빠르게 달리며 소녀가 오롯이 모든 순간에 집중할 수 있는 순간에야말로 몇 없는 평화의 순간이 지속된다.

  아이를 먼 친척에게 맡기며 본론을 바로 꺼내지 않고 경제, 물가, 날씨에 대해 빙빙 돌려 말하는 아빠. 자신의 아이를 먹고 살기 힘들다는 이유로 남에게 맡기게 된 현실을 외면하고 싶은 것인지, 부러 집안 사정에 대해 부풀려 말하는 아빠. 그런 그의 거짓말을 아무렇지 않게 용인해주는 킨셀라 부부. 아이는 자신의 부모님이 다른 가정에 비해 사정이 좋지 않고, 아이가 그들이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많이 태어나며 이에 따라 자신이 이름 모를 누군가에게 맡겨진다는 사실만 겨우 알고 있을 뿐이다. 아이가 킨셀라 부부의 집에 처음으로 발을 들이게 되었을 때도 부부는 많은 말을 하지 않는다. 그저 해야 할 일, 하면 안 되는 일을 구분하도록 돕고 소녀가 평범한 일상을 보낼 수 있게 어른으로서 자리를 지켰다. 그들의 일상이 자리 잡아 갈 때쯤, 마침내 자신의 아이가 아닌 이 소녀를 받아들이고 교회에 갈 때 입을 옷을 마련하기 위해 킨셀라 가족이 마을로 나가게 되며 소녀는 자신이 어떻게 그들의 집에 함께 살 수 있게 되었는지 알게 된다.

  사실 이 책에 나오는 인물들이 모두 절대적으로 악하다거나 서로를 극렬히 증오하지는 않는다. 댄은 그저 자신의 살림을 감당하기 어려워 잠시나마 아이를 좋은 곳에 두려는 살짝 무책임한 가장이고, 메리도 자신이 압도될 정도로 아이를 많이 낳아서 각 아이에게는 소홀한 경향이 있지만 그래도 부족한 살림으로 가정을 꾸려가기 위해 애쓴다. 킨셀라 부부의 아이는 그저 개를 구하고 싶었을 뿐이고, 그들 부부는 딱히 소녀를 죽은 친아들의 대용품으로 삼고 싶었다기보다는 더 형편이 나쁜 친척에게 좋은 일을 해주려던 것뿐이었다. 밀드러드 역시 존과 에드나가 마이클을 추모할 여유를 주고자 겸사겸사 소녀를 돌보며 너무 많은 말을 뱉은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선의의 거짓말도 거짓말이라는 범주에 들어가는 것처럼 그들이 굳이 전하지 않은 각자의 속사정은 암초처럼 끈질기게 누군가의 침몰을 기다린다. 소녀는 그 복잡한 물길 속에서 정신없이 흔들리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상처입기도, 누군가를 상처입히는 데 쓰이기도 한다. 그리고 그 모든 물살에 휩쓸려 이리저리 떠돌다가 자신의 마음이 온전히 발붙일 작은 섬을 하나 발견한다. 우리는 책을 읽으며 그 평화가 오래가지 않을 것임을 누구보다 잘 안다. 거짓은 오래가지 않는다. 거짓 평화, 가짜 가족... 설령 그것이 모두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거짓이라 해도 쉽게 깨지고 마는 것은 정말 진실만이 옳은 것이어서일까? <나의 라임 오렌지나무>에서 포르투가 아저씨는 제제가 온전히 어른으로 자라나기 전에 기차에 치여 죽고 마는 것처럼 세상은 아이라고 해서 일시적 행복을 온전히 누리게 두지 않는다. 소녀가 집으로 돌아갈 시기가 다가오자 킨셀라 부부는 여전히 침묵하지만 그들의 분위기는 아주 절제된 슬픔을 담고 있다. 집으로 데려다 주는 순간에조차 소녀의 엄마와 아빠는 어딘가 모르게 변한 그들의 딸을 보며 킨셀라 부부에게 보이지 않는 날을 세운다. 그 모습은 마치 아직 어린 소년소녀가 자신의 물건을 빼앗기지 않게 용쓰는 것 같았다. 메리와 댄에게도 소녀처럼 너무 순수해서, 어른들의 거짓말에 휘둘리고 상처입는 순간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어느 순간 그들은 거짓말하는 법을 배워 어른처럼 보이도록 꾸미고 있었겠지. 하지만 그들의 사연이 어찌되었든 간에 소녀에게는 돌아가고 싶지 않은 곳일 뿐이다. 그래서 소녀는 더욱 절박하게 매달린다. 그 모습을 보며 나는 마지막 부분에서 영원히 멈춰있고 싶었다소녀가 절벽에서 떨어질 것 같으면 호밀밭에서 서서 언제까지나 그 애를 잡아주리라.

이제 나는 평소의 나로 있을 수도 없고 또 다른 나로 변할 수도 없는 곤란한 처지다. - P17

"아빠." 내가 그에게 경고한다. 그를 부른다. "아빠." - P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