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유숙자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공 시마무라는 부모님의 유산으로 살아가는 사람이다. 도쿄 출신으로 그가 하는 일은 아무것도 모르는 서양무용에 대해 평론하고 자비로 평론지를 출판하는 것이다. 유산으로 살아가면서 번듯한 소득도 없는 삶을 살아가는 시마무라는 눈의 고장, 설국에서 고마코라는 게이샤를 만나 호감을 느끼고, 고마코는 시마무라를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시마무라는 유부남이었다. 그렇게 1년에 한 번씩 고마코를 만나러 오는 시마무라는 고마코와 함께 일하는 요코를 만나게 되고, 요코에게 고마코와는 다른 느낌의 감정을 느끼지만 결국 요코는 화재사건으로 죽게 되면서 책이 끝이 난다.

첫 문장이 유명한 소설이라 솔직히 한껏 기대하면서 책을 읽었다. 하지만 너무 기대를 했던 탓인지 내용에 기승전결이 없는 것보다 인물들의 특성이 전부 별로였다. 그중에서 가장 별로였던 건 시마무라. 부모님의 유산으로 살아가면서 헛된 일만 하는 것을 빼놓고 봐도, 유부남이 1년에 한 번 만나러 가는 게이샤가 있다는 것이... 대체 불륜을 왜 그렇게 포장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 그렇다고 고마코가 괜찮다는 것도 아니다. 요코도 마찬가지.

자연을 표현한 서정적인 글은 좋았지만 인물 간의 대사만 보면 감동이 깨진다. 어떻게 된 게 일본 문학은 읽는 것마다 찜찜한 기분이 드는지... 이 책이 진짜 노벨문학상을 받은 책인가?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다. 문체의 표현만으로 상을 받았다기엔 처음부터 끝까지 문체가 인상 깊지도 않고, 그렇다고 내용면을 보기엔 더더욱 이해가 안 가고... 번역을 잘했나? 나중에 다시 읽어보면 또 다른 느낌을 받겠지만, 일단 지금은 잘 모르겠다.

문체도 첫 문장을 보고 너무 많은 기대를 했는지 생각보다 인상 깊진 않았지만, 눈앞에 그려지는 설국의 이미지는 니가타현의 모습을 실제로 보고 싶게 만들어주었다


모든 것이 맑고 차분한 조화를 이루었다.

41p

은하수에 가득한 별 하나하나가 또렷이 보일 뿐 아니라, 군데군데 광운(光雲)의 은가루조차 알알이 눈에 띌 만큼 청명한 하늘이었다. 끝을 알 수 없는 은하수의 깊이가 시선을 빨아들였다.

14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