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 도시 기행 1 - 아테네, 로마, 이스탄불, 파리 편 ㅣ 유럽 도시 기행 1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9년 7월
평점 :
첫번째 기행문이여서 그런지 몰라도 여행 이라는 목적에 충실하기위해 노력한 작품인 것 같다. 그곳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필수적인 배경지식만을 통해 작가가 가보고 싶었던 여행지에 대한 감상(만족과 실망)에 더 충실한 글쓰기를 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인지 상대적으로 작가가 잘 알지 못하는 도시에 대한 기행문이 더 인상적이었던 거 같다.
물론 역사적 배경이 좀 더 중요한 도시에서는 전체 역사적 개괄을 설명하는 부분도 있지만, 이를 가급적 최소화하려는 작가의 의도를 느낀건 순전히 내 느낌만 일수도 있다.
누구나 그렇듯 가기 힘든 여행지라면 가능한 많은 것들을 두 눈으로 보고와야하는 의무감 혹은 본전 생각으로인해 얼마나 많은 곳을 다녀왔는가가 가장 중요한 여행의 과제이자 목적일 경우가 많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그곳은 가기전 좋은 가이드가 될수 있을 것 같다. 작가는 가급적이면 일반 사람들, 특히 자주올 수 없는 대다수 사람들의 눈높이에서 그 여행지에서 의미있는 것과 그렇지 않는 것에 대해 구분하여 설명하려는 노력이 읽혀지기 때문이다.
이번 책은 작가의 폭넓은 지식과 그 만의 쉬운 문체를 통해 유럽도시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주는 것과 아울러 더 인간적인 그리고 평범한 여행자의 입장까지 반영되어 있는 점이 내게는 더 마음에 든다.
그가 악법도 법이다라고 말했다는 것은 오랜된 가짜 뉴스다. 그는 스스로에게 질문했을 뿐이다. ˝폴리스가 정당한 절차에 따라 내린 결정이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해서 그것을 회피하는 것이 옳은가? 모두가 그렇게 할 경우 폴리스가 존속할 수 있는가?˝ 아테네 민주주의의 성장과 쇠락과 죽음, 그리고 일시적 부활을 모두 겪었던 소크라테스는 독 당근즙을 마시는 행위로 자신이 던진 철학적 질문에 대답했다. p.73
마지막 밤, 불 밝힌 파르테논과 리카비토스 언덕 꼭대기가 보이는 식당에서 아테네를 샹각했다. 찰학과 과학과 만주주의가 탄생한 고대 도시, 1천50백년 망각의 세월을 건너 국민국가 그리스의 수도로 부활한 아테네는 비록 기운이 떨어지고 색은 바랬지만 내면의 기품을 지니고 있었다. 남부러울 것 없었던 어제의 미소년이 세상의 모진 풍파를 겪은 끝에 주름진 얼굴을 가진 철학자가 되었다고 할까. 그 철학자는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큰소리로 말하지 않고 오래된 양복에 가려진 기품을 알아볼 책임을 온전히 여행자에게 맡겨두고 있었다. P.87
판테온 건축양식의 함은 지금도 여전히 강력하다. 서구 문명의 영향을 받은 모든 지역에서 사람들은 관청과 대학 건물에 둥근 지붕을 얹으려고 애쓴다. 일본 육사를 나온 박정희 대통령이 여의도 국회의사당 지붕을 돔 형태로 짓게 했을 정도이니 더 말해 무엇할까. 판태온 앞에 맛있는 절라또 카페가 있다는 소문은 무시하는게 좋다. 젤라또는 로마 어디서 먹어도 다 맛이 좋았다. 도떼기시장처럼 인파가 우글대는 판테온 근처 젤라또 가페 주변을 서성이면서 빈자리가 나기를 기다리는 것은 로마 여향자가 할 수 있는 가장 미련한 행동이라고 본다. P.128
이스탄불은 확실히 터키공화국보다 큰 도시였다. 비잔틴제국과 오스만제국의 유산 가운데 터키 만족주의가 포용하지 못하는 모든 것은 터키식 커피로 이름이 바뀐 오스만식 커피 잔 바닥의 분말처럼 가라앉고 말았다. 자신의 궁전에 유배당한 왕을 보면 이런 느낌이 들까? 마지막 일정을 마친 밤, 잠들기 전에 이스탄불에 위로를 보냈다. P.241
루브르를 지배하는 것은 작품의 아름다움과 예술가의 열정이 아니라 인간의 탐욕과 권력의 횡포, 집단작 허영심이다. 작어도 내 느낌은 그랬다. 루브르 건물은 프랑스의 국력과 왕의 권력에 비례해 커지고 화려해졌다. P.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