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에 끌리다 - 나를 위한 특별한 명화 감상
이윤서 지음 / 스노우폭스북스 / 2018년 7월
평점 :
품절


새로 나온 신간 정보를 보고 교보문고에서 이 책을 찾았다. 하지만 깔끔한(?) 비닐커버로 인해 그 내용을 볼 수 없어 다소 실망했던 기억이 있다.
책을 읽어보니 출판사에서도 많은 고민 끝에 그렇게 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이 책은 참. 쉽.게. 읽.힌.다.
글을 쓰는 사람에 좋은 말일 수도 그 반대일 수도 있는 말이다. 자칫 내용의 빈약함으로 느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이 쉽게 읽히는 것은 작가의 개인적 일상에서의 느낌과 이를 연결시켜 적정한 수준에서의 화가와 작품에 대한 해설이 잘 어우러져 있기 때문인 거 같다.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은 적정수준의 작품 해설에 대한 글쓴이의 고뇌가 느껴진다는 것이다. 그로인해 이 책의 제목처럼 그림에 끌릴 수 있는 그 계기를 만들어 주기에 충분한 책임에 틀림없어 보인다.



‘보이지 않는다고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을까.
죽음은 끝이 아니다.
단지 눈에 보이지 않을 뿐이다.‘
내 인생의 교훈이 새겨진 반지를 만지작거려본다.
This too shall pass away.
이 또한 지나가리라. 어떤 것도 지나가게 되어 있다. 너무나 사랑한 자신의 일부인 벨라를 잃은 그(샤갈)처럼 우리의 삶도 만남과 이별의 연속이다.
이별 뒤에는 다시 만남이 기다리고 있다. 
나도 누군가에게 좋은 기억으로남았으면 좋겠다. p.63

‘일상이 아름답게 느껴지는 날 보다 그렇지 않은 날이 많다. 모든 게 너무나 바쁘고 빠르게 흘러간다.
하지만 베르메르 그림 속 주인공들의 일상은언제나 평화름은 아름다워 보인다.‘
아주 천천히 누군가에게 전해야 할 편지를 쓰고 있는이 여인과 하녀의 얼굴을 비추는 빛이 아름다움을 더한다. 그 누구도 서두르지 않는다.
어쩌면 그의 그림에 우리가 원하는 일상이 담겨 있는지도 모른다. p.83

도시 빈민의 삶을 어떠한 과장도 없이 적나라하게 그려낸 그림은 [3등 열차]가 아닐까 싶다. 
화가(오노레 도미에)의 사회 비판적인 안목을 읽을 수 있는 이 작품의 배경이 되는 열차는 현대적인 교통 수단이다.
그들은 빠르게 움직이고 더 많은 일을 해야 했다.
치열한 삶에서 살아남기 위해 빼곡히 붙어 앉아 고단한 몸을 열차에 싣는다. 마치 짐칸에 실린 짐처럼 서로 어깨가 맞닿아 있거나 등을 온전히 기대지 못하기도 한다.
‘창밖으로 보이는 밝은 풍경과 달리 열차 안에 있는 사람들의 표정은 어둡고 암울해 보인다. 무관심한 표정으로 오지 목적지에 다다르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p.130

그녀(천경자)가 그려내는 여성의 이미지는 끊임없이 변화했으며 1990년대 들어 사회적 관습과 물질문명으로 부터 자유롭게 사는 자신을 화폭에 투영하고자 했다. 다시 말해 천경자는 단지 아름답기만 한 여성을 그리는 게 아니라 자아와 자기주장이 확고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p.2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