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호밀밭의 파수꾼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7
J.D. 샐린저 지음, 공경희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소설이 출판된 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홀든의 궤적을 흠모하고 공감 했는가에 대한 대답은 피하기로 하자. 수많은 사람들이 마치 피리 부는 청년의 뒤를 따르듯이 이 소설의 영향을 받았고, 자신만의 행동과 표현으로 그 영향력을 행사했음은 이미 하나의 역사책을 쓴다해도 충분한 분량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주인공인 홀든의 짧은 시간을 자른 기록들을 통해 우리는 우울한 사춘기와 벗어날 수 없을 것만 같은 어두운 터널을 공감하며 지나왔고, 그 삶에 대한 답안은 자신들 만이 가지고 있다.
소설을 읽고 느끼는 감동은 제각각이지만, 개인적으로 책장의 마지막을 넘긴 후 홀든의 시간이 여기서 멈추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가 자신의 사춘기 혹은 경우에 따라 더 지속될 수 있는 이 소설의 시간 너머, 어떤 모습으로든 성인이 된 체 남아 있다는 것은 용납하기 힘들 것 같다. 이 소설을 읽고 느꼈던 생각을 포르말린에 절인 시체 같은 모습으로....'아, 이 소설을 읽고 공감한 적이 있었지.' 라는...그런 방식으로 유년 시절을 박제 하기는 싫다. 그럼 홀든이 굉장히 슬퍼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문득 이 소설이 가져다 준 느낌들이 삶에서 언제든 닥칠 수 있는, 우울하고 죽고 싶을 만큼 괴로운 날이 있을 때면 언제든 손을 잡아줄 수 있는 친구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막 스쳐 지나간다. 주변에 대한 무한한 분노의 불길은 언제나 기름을 먹인체 우리들 삶의 주변을 떠돈다. 그리고 그 곳에 불씨를 당긴다는 걸 피할 수 없는 순간도 인생에서는 분명히 찾아 온다. 그 때 그 불씨가 얼마나 때묻은 부분만을 태워 버릴 수 있을지 아님 자신의 몸 전체를 불살라 버릴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이 소설은 삶에서 만나는 그런 순간들을 얼마나 현명하게 판단해야 할지에 대해 함께 되물어 줄 것이다.
홀든 주위의 환경에 대한 이해는 당시의 미국 사회를 안다면 더욱 도움이 되겠지만, 그보다 그의 마음이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음을 느낄 때, 이 소설을 읽는 사람들은 그 누구도 가질수 없는 자신 만의 비밀스런 안식처를 만들어 갈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