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적으로 위화의 소설 중 두번째로 접하게 되는 이 소설은 진정한 풍자가 무엇이라는 걸 보여준다.그가 소설 속에 등장 시키는 인물들과 그들이 만드는 이야기들은 중국의 근현대사를 입담 좋은 이야기꾼의 자세로 이끌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된다. 처음 이 소설을 이전에 읽은 [살아간다는 것] 에서 보여준, 1인칭 화자에 의한 액자식 구성을 너머, 이제는 소설가 자신이 허삼관이라는 인물을 통하여 딱딱한 역사서에서는 접하기 힘든 생생한 인물들을 만들어 내는 것에 성공했다고 여겨진다.

작가는 매혈(賣血)이라는 것, 즉 피를 판다는 것을 통해 중국 민중의 삶 속으로 접근해 간다. 이전의 역사에 있어서 중국 사회의 혁명이란 민중의 피를 댓가로 요구했다. 위화는 이를 살짝 비틀어 피를 '판다' 라는 사회의 모습을 통해, 중국 민중의 근현대 역사적 삶의 변화를 통하여 역사적인 사실의 변천과 사람이 사람에 대해 갖는 따스한 정감 어린 모습을 적절한 비중으로 구성하고 있다.

하나의 연결된 체제 내에서 시간차를 두고 전개한 옴니버스와 같은 구성은 지루하지 않고 웃음과 눈물이 동시에 교차하는 가운데 어느새 책장의 마지막까지 넘긴 스스로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한 사회를 풍자하면서도 민중에 대한 따스한 시선을 잃지 않는 작가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들 외에도 중국 근현대사의 민중의 삶에도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역시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