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를 들쳐 보면 '호란' 에 관해 서술된 내용은 비교적 간략하게 나옵니다.

시험 문제를 위해 학생들에게 떠들었던 내용들은 대략 이렇게 정리되곤 합니다.

'왜란에 비해 호란의 규모는 북방에만 머물러 있어 전국적인 피해는 적었으나, 정신적인 충격은 대단해서 조선 사회 후기의 도덕성 및 국가관에 대해 혼돈을 가지고 왔다.'

책을 읽다 몇 번 손에서 놓았었다가 다시 읽기를 반복했습니다.

[현의 노래] 때도 그랬지만....김훈의 언어는 그의 잘 쓰는 말처럼 '뜻이 가파르되 문장이 순하니 아름답다.' 라는 말을 떠올리게 합니다.

인조, 김류, 김상헌, 이시백, 최명길 이라는 정치계의 큰 축들의 기싸움과 한숨과 함께 나루와 서날쇠, 정명수와......인조가 눈물로 보내써야 할 윤집, 오달제 등등 많은 이름들의 말들이 엇물려 큰 눈을 뭉치듯 글들이 커져 갑니다.

'남한산성'이라는 공간 내에서 겪었던 '정신적인 충격' 과 이야기들이 담담한 문체로 수묵화처럼 천천히 그려집니다.

드라마 조선왕조실록 처럼 인조가 머리를 찧으며 피를 흘렸던 장면들 보다,
뱃사공의 목을 밴체 눈물을 머금고 뒤를 돌아서는 김상헌의 모습과 담담히 세 번 절하고 아홉 번 머리를 조아리며, 절한 머리 끝에 맡아지는 향기로운 흙냄새 속에서 살아가야 할 아득한 날의 흔들림을 머금는 왕의 모습이 글 속에 천천히 담기어 집니다.

결코 사람의 마음 속에 들어가 섣불리 감정을 흔들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담담히 보여주며 그 모습을 머리와 마음에 그리게 하는 문장을 오랜 만에 만난 것 같습니다.

가끔은 이런 글을 볼 때마다 교과서 내용과 파워 포인트의 몇가지 그림을 보여주고, 1번에서 5번 사이의 답을 찾는 훈련이나 하고 있을 뿐, 지금의 나 자신이 '정신적인 충격' 이 무엇이었는가에 대해 생각하고 말할 수 없었다는 것이 서글퍼집니다.

'살아 있는 동안의 몸으로써 돌이킬 수 없는 시간들을 다 받아 내지 못할진대, 땅으로 뻗은 길을 걸어갈 수 밖에 없으리.'

맨 뒷면의 '작가의 말' 을 읽다 그의 글이 이 말을 펜대삼아 휘둘린 글임을 짐작케 합니다.
그 글에 마음도 휘둘렸으니 오늘 같은 날은 오랜 만에 실록이나 베게 삼아 잠을 청해볼까 생각 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