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orld Is Flat (Hardcover) - A Brief History of the Twenty-First Century
토머스 L. 프리드만 지음 / Farrar Straus and Giroux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The world is flat 이라고 말하는 기본 개념은 IT 기술의 발달로 전세계가 이어짐에 따라 지역적,국가적 경계가 없어지고 기업간 경계도 허물어진다는 것이다. 여기서 Flat 이라는 의미는 'connect' 된다는 개념이다. 전세계가 하나로 이어짐에 따라 '개인의 능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대가 온다고 한다. 여기에서는 세계를 평평하게 만드는 데 공헌한 Ten Forces 를 언급하고 있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므로 해서 Political barrier 가 무너지고 , 닷컴 burst 로 인터넷 발달로 자유롭게 지역 제한없이 trade가 이루어 진다. Work flow S/W발전이라든가 Open-sourcing, outsourcing, offshoring , SCM발달 등 으로 전세계가 하나로 연결된다. 특히, 작가는 Globalization 3.0이란 것을 언급하면서 글로벌화는 이제 거대 기업이나 World Bank같은 조직에 의해서 진행되지 않고 개인들에 의해서 이루어 지고 있음을 밝힌다. 특히 이런 개인들은 전세계 잘 발달된 IT 네트워크를 통해서 기업과 개인들, 즉 freelancer(특히, 중국과 인도 인력의 경쟁력을 언급하면서),간의 경쟁을 부추기고 있다고 한다. 이에 따라 flatenning 이 진행될 수록 개인의 능력이 중요해지고 앞으로는 Generalist가 아니고 Specialist 가 필요로 하는 사회가 된다고 지적한다.

작가는 flatenning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unflat 한 것도 있다고 밝히는 것도 잊지 않는다. 그러나 여기서 작가가 말하는 것은 대부분 회사와 개인의 직무와 관련된 내용이다. 문화나 사람의 풍습이나 관습에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flatenning되는 것에 대한 언급은 없다는게 좀 아쉽다.

이 책은 산문식으로 되어 있어서 읽고 이해하기가 쉽다. 역시 '개인의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음이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는 책이다.


Ten Forces

1. 베를린 장벽 붕괴
1989년 장벽의 붕괴로 전세계의 힘의 균형이 민주주의와 자유 무역으로 모아지게 된다

2. Netscape IPO
1995년 Netscape 의 출현으로 fiber-optic 케이블에 대한 광대한 투자로 전세계가 인터넷을 매체로 하나로 연결되는 계기가 마련되어 진다.

3. Work flow software


4. Open-sourcing
리눅스 같이 오픈 소스를 제공하고 자체적으로 제품을 개발, 업데이트해서 share하는 움직임

5. Outsourcing


6. Offshoring
생산 비용이 싼 곳으로 생산지를 옮기는 것(중국, 인도 등)

7. Supply-chaining
고객, 소매상, 공급자를 연결하는 전세계 망을 구축(예,Wal-Mart)

8. Insourcing
UPS 및 FedEx 같은 로지스틱 업체들이 customer supply chain을 사업화

9. In-forming
Google과 같이 파워풀한 서치 엔진의 등장으로 인터넷이 지식의 personal supply chain이 됨

10. Wireless
"steroids" 처럼 와이어리스 기술이 이동성 및 개인성을 강화시키며 collaboration을 강화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sp 2005-10-09 04: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요약 하셨군요.
저는 보면서 지금 이렇게 빨리 변하는 세상에 우리나라는 저자의 첫장의 얘기 처럼 자고 있는지 생각이 드는군요. 경제가 세계 몇번째라고 자부 하고 있지만 이글을 읽으 면서 순식간에 무너질수 있다고 생각이 드는군요. 마치 소니 회장이 얘기 했던 "지금의 순간이 공룡이 사라지게된 혹성의 총돌시와 같이 빨리 움직이고 있다". 빨리 움직이지 않으면 공룡처럼 멸종 된다는 얘기죠. 우리나라가 이렇게 대처를 해야 하는데 중국이나 인도에 비하여 비대해지고, 게을러졌으니 말이죠. 정치하는 사람이나, 경제를 이끌어 가는 사람은 꼭 한번쯤 읽어 볼만한 책인것 같아요.

날라리 2005-10-09 14: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그런데 한가지 이제는 나라와 나라간의 경쟁, 기업대 기업간의 경쟁이 아니라 기업과 개인간의 경쟁까지 되는 걸 보면 어떤 한 기업이 그 기업의 모국가에 속해 있어야 하느냐 필요 없느냐도 생각해 볼 때 인 것 같습니다.

khp 2009-02-04 1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개인도 그러지 않을까 싶네요~ 국적이란 통제가 없는 nomad적인 기업가 정신이
그와 일맥상통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