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극장 - 막이 내리고 비로소 시작되는 아버지, 어머니의 인생 이야기
노명우 지음 / 사계절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모님의 자서전을 대필한 책이라는 소개글에 매료 되어 서평을 신청하고

운이 닿아 출간 전 서평단에 뽑혀 출간 전

가제본 판을 읽고 서평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대한뉴스, 문화영화를 모르는 세대들은

L.P, 삐삐를 체험해 보지 못하고 글로 접한 사람들일꺼 것이다.

다음백과사전에 따른 정의에 따르면 대한뉴스는

"1940~1990년대 국립영화제작소에서 제작했던 극장 상영용 16㎜ 뉴스 영화."

1945년 해방 후 미군정 시절에 시작되어 1994년 12월 31일 2040호를 끝으로 종영되었다.

대한뉴스는

텔레비전이 보급되기 전 국민들이 유일하게 즐길 수 있는 오락 영상물이 영화이던 시절에 「대한뉴스」는 영화를 보러온 국민들에게 국내외 뉴스를 전해주기도 했고, 정부의 방침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국민들을 단속시키기 위한 정책 수단의 하나로 중요하게 활용되었다.

이렇게 장황하게 대한뉴스에 대한 정보들을 나열하는 까닭은

[인생극장]을 이해하기 위한 예비 과정이다.

 

저자는 부모님을 이해하기 위해 당대의 대중영화들을 적극 끌어안았다.

그 이유로는 당시 국민학교만 졸업한 부모님들은

책과 신문을 통해 사회를 이해했던 것이 아니고

극장에서 영화를 보며 정보를 얻고 꿈을 키워 나갔다고 판단한 것이다.

[인생극장]을 읽으며 이 점에 완전히 매료 되었다.

영화를 좋아하고 극장에서 영화 체험하기를 즐기는 나 자신과 별반 다르지 않다.

[아비정전]을 통과해 청춘을 느끼고

[화양연화]를 보며 사랑이라는 엇갈리는 타이밍을 가슴아프게 배웠다.

 

저자는 자신이 알지 못하는 부모님의 출생과 성장과정, 그리고 청춘의 시기를 느껴 보기위해

필사적으로 쫓아간다.

아버지가 태어나신 고향에서 다녔던 국민하교까지의 길,

만주에서 사진 기술을 배웠던 시기

징집되어 나고야에서 해방을 맞았던 그곳을 찾아간다.

그러면서 박정희와 삶과 겹쳐 놓으면서

우리의 왜곡된 근대화를 미러링하는 것이다.

 

[인생극장]이 신기하고 흥미로운 점은

부모님 세대를 이해하기 위해 1950년 ~ 1970년 흥해에 성공한 대중영화에서

욕망을 읽는 지점이다.

저자가 책에서 인용한 문장으로 글을 맺을까 한다.

"대중성은 사회학자 에바 일루즈의 말처럼,

어떤 사회가 소중히 여기는 가치, 특정한 문제를 바라보는 두려움, 함께 흥분하며 설레는 상상력 등을 이야기 속에 녹여낼 때 생기는 현상이다.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할 기회를 인생에서 단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이들의 인생 궤적을 발결할 수 있다. _에필로그 :미래라는 순간, 428Page

개인의 잠재 능력은 그것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날 때에만 현실이 될 수 있다. _1장 창신동 산동네, 그들만의 세상, 163Pag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튜브 온리 - 일상이 된 모바일 라이브, 미디어의 판을 뒤엎다
노가영 지음 / 미래의창 / 2017년 12월
평점 :
절판


유튜브로 뽀로로를 보며 성장한 세대들은 검색도 포털사이트가 아닌 유튜브로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들에겐 스마트폰이 신체의 일부가 아닐까 싶다.
트렌드인 모바일 라이브
그 이후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튜브 온리 - 일상이 된 모바일 라이브, 미디어의 판을 뒤엎다
노가영 지음 / 미래의창 / 2017년 12월
평점 :
절판


유튜브로 뽀로로를 보며 성장한 세대들은 검색도 포털사이트가 아닌 유튜브로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들에겐 스마트폰이 신체의 일부가 아닐까 싶다.
트렌드인 모바일 라이브
그 이후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야기 넘치는 교실 온작품 읽기
전국초등국어교과모임 지음 / 북멘토(도서출판)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 넘치는 교실 온작품읽기
신수경, 이유진, 조연수, 진현
네 분의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아이들과 함께 책을 읽으며 경험했던 

구체적인 사례들이 가득 담겨있다.
동시, 그림책, 동화의 다양한 장르를 학년에 맞춰 두루 읽어 준 기록이다.

'한 한기 한 권 읽기'
'2015 개정 교육 과정'에 따른 새로운 독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책 표지에 나와있는 광고성 멘트들이다.
교사가 읽고 학생들과 함께 온작품읽기를 실천하기에 좋은 안내서로 유용하다.
그보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가 읽고 따라하기 편하다.
재미있는 동화책을 찾아 아이에게 읽어주고
이 책의 안내에 따라 아이와 함께 활동해 볼 만하다.
예를 들면 흥미있는 동시집을 읽어주고 

아이에게 언어의 상상력을 느끼게 하는 계기가 될꺼 같다.

한발 더 나아가
아이의 상황에 맞춰 동시를 쓰는 일도 시도해 볼만 하다.

어린 시절에 직접 창작에 대한 경험을 갖는다는 소중한 기억이 될꺼 같다.

책 읽으라는 100번의 잔소리보다 1번의 책 읽어주는게 중요할꺼 같다.
학교에서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이는 부모의 영향을 받고 자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그 영화의 시간 이동진의 부메랑 인터뷰
이동진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가 보고 싶겠죠. 이건 이미 제가 본 영화가 아니라,

아직 보지 못한 영화를 말하는 겁니다.

이미 본 이미지라면 그렇게 절실하지는 않을 것 같아요.

아내와 자식의 얼굴이라고 대답할 수도 있겠는데,

그것은 기억을 통해서나 만져서라도 혹은 목소리라도 어느 정도는

충족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앞을 보실 수 없게 된다면, 감독님은 무엇이 가장 보고 싶어질 것 같습니까

라는 질문에 박찬욱감독의 답변이다.

 

이 영화광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가?

그의 성공은 그냥 얻어진 게 아니다.

영화 사랑을,

영화를 생각하고 아끼는 마음을

무엇보다 진정성을 배운다.

박찬욱감독님은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영화감독을 꿈꾸는 수 많은 사람들에게

신화같은 존재가 되었다.

<달은 해가 꾸는 꿈>, <3인조> 로 깊은 수렁에 빠져 있다가

<공동경비구역 JSA>로 흥행감독이 되었고

일명 복수 3부작 <복수는 나의 것>,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

으로 세계적인 감독이 되었다.

<올드보이>는 그해 깐느영화제 심사위원장이었던 퀜틴 타란티노 감독에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하며 전세계에 이 영화팬을 양산하였다.

<사이보그지만 괜찮아>, <박쥐>를 완성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스토커>를 선보였다.

헐리우드 진출이라는 꿈같은 일을 이룩한 것이다.

 

<박쥐>를 박찬욱감독의 최고작으로 꼽는 이동진과의 인터뷰 글을 읽으며

시사회에서 <박쥐>를 보고 쉽게 있고 말았는데

다시 한번 영화를 보고 싶어 졌다.

 

"요즘 제게는 시네마테크에 가서 고전영화들을 보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

그리고 좋은 문학작품을 읽는 것이죠.

그런데 이 둘 중에 문학쪽이 조금 더 낫다고 할 수 있어요.

왜냐면 위대한 영화의 경우에는 보면서 배우기도 하고 영감을 얻을 수 있는 반면,

보는 사람을 너무 위축시키고 좌절케 하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입니다."

 

 

영화에 도움이 될 만한 경우를 묻는 질문에 박찬욱 감독의 답변이다.

 

 

이명세감독이 연출한 <나의 사랑 나의 신부> 는

극장에서 2번 본 첫 한국영화이다.

물론 당시에는 이명세 감독이 누군지도 몰랐고

여주인공 최진실의 매력에 빠져서 다시 본 것이다.

그 후, <인정사정 볼 것 없다> 까지 극장에서 개봉 되는

영화들을 챙겨 보며 이명세 월드에 빠졌다.

<형사>, <M> 을 극장에서 놓쳤다.

특별한 이유도 없이 그의 영화들을 지나치고 말았다.

왜 그랬을까?

아쉽다.

영화를 대하는 그의 고집과 태도

스타일에 대해서 다시 관심을 가져야 겠다.

 

"사실 영화를 찍다 보면 대화 장면 연출이 제일 힘들어.

재미가 없으니까.

대화 장면을 눈여겨보면 그 감독 연출력을 알 수 있어."

 

이명세 감독의 답변이다.

<도둑들>, <전우치>, <타짜>, <범죄의 재구성>

그리고 <암살>- 촬영 준비 중으로 1930년대 상하이 배경, 하정우, 전지현 주연 예정작품

책 중간에 실린 최동훈감독 인터뷰를 제일 먼저 찾아 읽었다.

그의 이야기를 들으며 시나리오를 쓰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였다.

새롭고 재미있는 대사를 쓰기위해 계속해서 고치는 걸 상상해 보았다.

꿈같은 이야기지만

그를 매혹시킬 만한 원작을 준비해 함께 영화를 꿈꿔 보고 싶다.

 

"결국 제가 하고 싶은 걸 보여줄 수 있는 사람은 배우니까요.

사실 감독은 애초에 배우와 생각이 다르죠.

그러니 함께 맞춰 가는 게 제일 좋을 거에요.

그래서 귀도 많이 열어놓아요."

 

 최동훈감독이 배우와 관계에 대해 한 말이다.

 

 

박찬욱, 최동훈, 이명세

영화평론가 이동진님이 인터뷰에 초대한 감독님들

649page에 이르는 방대한 내용을 꼼꼼히 읽으며

감독들의 영화를 반복해서 보며

대사를 적고 질문을 만드는 이동진의 수고를 느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