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책을 읽는 데에도 방법이 필요할까?
-
-
어느 독서광의 생산적 책읽기 50 - 미래를 위한 자기발전 독서법
안상헌 지음 / 북포스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독서가 취미가 되었다고 자연스럽게 얘기할 수 있을 이 시기에 글을 남긴다.)
나는 책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그리고 책을 좋아하기 시작한지도 얼마 되지 않는다.
물론 그런 이유로 지금까지 내가 읽은 책들의 양도 별로 많지 않다.
그러나 이제는 자연스럽게 얘기할 수 있을 자신감이 내게 생겼다.
책에 대한 진실성이나 의미에 대해서 받아 들이는 법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나는 책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내가 읽고 싶어서 그리고 끌리는 책들을
내가 소화할 수 없을 허용 이상 범위의 정도까지 구입을 한 적이 있었다.
(기본적으로 손이 큰 나의 성향에 의한 것일수도..)
물론 현재에도 내가 소지하고 있는 책들의 절반 이상을 전부 읽지 못한 상태이다.
하지만 나는 서두르지 않는다. 그저 금전적으로 여유가 되었을 때
미리 투자를 해 놓은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앞서 말했듯이 나는 진정으로 책을 사랑하는 사람이 아닐지도 모른다.
하지만 최소한 책을 가까이 하고 책을 더 알기 위해서 행동을 할 추진력은 있다고 자신한다.
집에 놓여진 책들을 보며, "오늘은 무슨 책을 읽을까?"라고 고민할 수 있게 만드는 행동이었기에..
나는 읽지 못한 책들을 서두르지 않고 또한 그 책들을 가만 내버려 둘 생각은 추호도 없다.
어느날 한가지 특이한 현상을 목격하게 되었는데
내가 구입해 온 수십권의 책들이 분명히 나의 소유의 것들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내 것이 아닌 것 같은 책들이 더 많다는 것을 느꼈다.
내가 받아들여 읽은 책은 나의 것, 아직 그 책을 전혀 모르는 책은 나의 것이 아닌 것처럼 말이다.
딱 그 책을 보면 눈에 띄인다. "음.. 이 책은 내가 직접 돈을 주고 샀지만 아직 내 것은 아니군.."
이라며 말이다.
쉽게 얘기해서 영화 DVD를 잔뜩 가지고 있으면서 그 DVD를 전혀 보지도 않았다면
그 DVD가 존재하는 의미가 없을 것이다. 책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어찌 되었든 읽어야 나의 것으로 만들 수 있다.
허나 분명하게 말하고 싶은 것은 단순하게 쓰여진 글씨만 읽는 것에는 문제가 좀 있다.
자신의 이름을 새기기 위해서,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100권의 책이던 단 1권의 책이던 그 가치의 정도는 같기 때문이다.
만약 100권의 책을 생각 없이 읽었거나 혹은 자신이 그 책에게서 아무런 생각이나 느낌을
받을 수가 없었다면 그 시간과 행위는 그리 생산적이라고 하기에는 조금 어렵다고 본다.
적어도 그 책을 선택한 자신의 선택에 미스가 있었다고 봐야 할지도 모른다.
책을 읽기 위해서는 의미와 느낌 그리고 즐거움과 재미도 상당한 중요성을 지닌다.
만화책을 읽으면서 어서 다음 내용이 알고 싶어 안절부절 못했던 적이 있는가?
혹은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지도 모른채 책에 심취되어 빠져 들었던 적이 있는가?
그런 책의 즐거움과 의미를 발견해야 비로소 진정으로 나의 책을 만들 수가 있는 것이다.
하루가 걸리던 1년이 걸리던 시간과 장소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단 한권이라도 좋으니 자신의 책을 먼저 만들어 보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