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혁명의 미래 - 디지털 기억 혁명은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고든 벨.짐 겜멜 지음, 홍성준 옮김 / 청림출판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라이프 로깅"
잃어버리는 기억들에 대해서 단 1초도 놓치지 않고 기록을 해 두었다가,
필요한 기억을 다시 되살릴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 과연 좋은가?

이런 라이프 로깅 프로젝트는 급진적이면서도 기술결정론적이다.
그러니까 이 기술이 더나은 삶을 제공해 줄 것이라는 장미빛 믿음을 강요하는 것이다.
물건에 대해 너무 많이 쌓아두고 있기 보다는 잘 버려야 잘 산다는 말이 있다.
내 생각엔 기억도 마찬가지다.
인간의 생물학적, 인지과학적인 한계 때문에 모든 기억을 100% 담고 있을 수는 없다.
특히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주는 치명적인 기억은 오히려 잊혀지는게 더 낳을 것이다.
그런데 그런 모든 기억들에 대해 우선 100%로 기록을 하고,
필요에 따라 꺼내쓴다니...

당장 생각나는 문제거리만 해도 여간 골치아픈게 아니다.
개인의 사생활 문제도 그렇고 정보의 관리와 보안 문제 심각하지 않을 수 없다.
단순히 휴대폰 번호와 주민번호 누출되서 생기는 피해들과는 다른 형태의 신종 피해사례들이
쏟아져 나올 것 같다고 예상된다.
특히 이런 정보들은 사회적 능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차지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더욱 더 위험하기 그지 없다. 결국 부와 권력을 가진 사람은 더욱 더 정교한 지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마도 빌 게이츠는 인간의 더 나은 삶을 생각해서 이런 서비스를 만들려고 한다기 보다는,
또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사업화 하려는 목적 때문인 것으로 생각이 많이 기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