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는 왜 세계 정복에 실패했는가
베빈 알렉산더 지음, 함규진 옮김 / 홍익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세계 정복을 꿈꾸는 히틀러, 그에게는 세계를 다스리기에는 그릇이 너무 작았다. 큰 꿈에 비해 의심하는 성격이 승자가 되는 길을 막았다. 1000일 간의 기록에서 말해주듯이 중심이 없는 생각, 부하들을 의심, 전선 관리 능력까지.... 이성적인 판단을 상실하고 감정에 의한 결정에 히틀러를 승자라고 인식하지 않는다. 단지 실패를 되풀이한 졸장에 불과하다.

패배에 어떤 후유증을 입었는지 궁금하다. 오락가락하는 정신은 대나무가 갈라지듯 한번에 갈라지고 있었다. 나폴레옹과 비교되는 것도 이 점이다. 히틀러는 패배를 절망의 시작으로 여긴 것으로 보인다. 많은 영토의 확보로 세계의 중심을 꿈꿨지만 사방에서 밀려오는 적을 대처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신이 혼미했다.

이길 수 없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힌 히틀러, 결국에는 부하들까지 의심을 하며 닥치는대로 걸리면 죽는다 식의 위기를 벗어나려고 했다. 오히려 이런 의심은 히틀러 암살계획까지 실행했다. 암살에는 실패했지만 부하들은 점점 히틀러에서 멀어졌다. 고립을 자초한 히틀러는 자살로 마무리 된다.

그리고 전선 관리까지 허술했다. 일임을 하는 건지, 직접 통제를 하려는 건지 작전지휘체계의 혼란으로 패장이 되었다. 전선만 확대했지 어느 하나 책임을 지려는 자가 없다. 에르빈 롬멜의 북아프리카 전선만이 최악의 사태로 몰고 가지 않았을 뿐이다. 빠른 결정을 하지 못하고, 장군들이 점점 등을 돌리고 있는데 그 많은 영토를 관리하는 것은 예상된 결과를 만들었다.

히틀러는 2%가 부족했다. 큰 꿈에 비해 치졸한 행동으로 다 잡을 수 있었던 것을 손에서 놔버렸다. 왜 그리 의심이 많은지 높은 위치에 비해 신임을 주지 못했다. 대중을 사로잡았던 능력은 타고났지만 잠재되어 있는 의심병은 살아남은 자들의 짐으로 변해버렸다. 믿었던 사람이 허무한 결과를 만들어 낸거에 반성이 없었던 것에 큰 실망을 했다.

패전국으로서 서독과 동독으로 갈라져 45년간의 분단은 통일된지 100년도 안된 상황에서 회복될 수 있는 기간만 늘여준 꼴이었다. 독일 국민들은 히틀러를 자랑스러운 군인이 아닌 독일 통합에 역류를 흐르게 하는 반역자로 인식할 것이다. 통일이 되어도 통합을 이루기에는 아직도 멀어보이는 독일, 그 속에는 분단과 통일로 되풀이 되는 역사가 있었고, 최악의 위기를 만든 것이 바로 히틀러라는 것을 알고 있다. 히틀러의 못난 행동은 독재자라는 꼬리표를 떼기에는 불가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