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숨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책이 나온 걸 작년 겨울쯤 본 것 같은데, 손이 가지 않았다. 철? 자본? 노동? 첫 느낌은 딱 이거였다. 재미없겠다..

김숨이 최근 발표하고 있는 단편들을 따라 읽지 않았다면, 그리고 그 단편들이 내 마음을 흔들지 않았다면, 이 소설을 영영 읽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기괴하고 강렬한 소설이다.

마치 단편 같다는 인상을 주는 장편이다. 그 정도로 문장이 경제적이다. 그런데도 잘 읽힌다. 뚜렷한 서사가 없는데도. 

후각과 장면을 이미지화 하는 솜씨가 뛰어나다. 이 소설을 읽다보면 정말로 쇠 냄새가 난다.

 

마을 북쪽에 조선소가 들어서면서 마을 남자들은 너도나도 조선소 노동자가 되기를 원한다.  그들은 오랫동안 노동을 갈구해왔다.

그들이 믿을 수 있는 것은 오로지 노동뿐이었다. 밥을 먹고 살기 위해서는 닥치는 대로 노동해야 했다. 그들에게는 노동이 곧 신앙이다.

철선이 만들어지는 그날까지 그들에겐 변함없는 노동이 주어질 것이었다.

그렇게 마을 사람들은 쇠를 신봉하기 시작한다. 멀쩡한 이를 다 뽑아서 무쇠 틀니를 끼우고, 무쇠 식칼을 수십 개나 사들이고, 쇠를 부적처럼 지니고 다닌다. 심지어 죽은 사람을 염할 때도 구멍이란 구멍에 모조리 쇠를 박아넣고 쇠로 짠 관 속에 시체를 눕힌다.

마을은 점점 녹으로 가득 차고, 녹은 모든 걸 부식시킨다. 조선소 노동자들은 노동하다 죽어가고 죽지 않으면 조선소에서 쫓겨나 노동을 박탈당한다. 마을에는 폐병 환자가 늘어가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조선소 노동자들을 '위대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들 중 어느 누구도 자신들이 만들고 있다는 철선을 보지 못한다.

 

그는 문득 철선의 실체가 궁금해졌다. 지난 십 년 동안 철선의 완성만을 위해 힘써 일했지만, 그는 꿈에서조차 철선의 실체를 본 적이 없었다. 수십 수백 명의 노동자들이 달라붙어 있는 철판만을 보아왔을 뿐이다. (104쪽)

 

철선뿐 아니라, 조선소의 '주인되는 자' 또한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주인되는 자'는 오로지 조선소 곳곳에 매달아놓고 근면, 성실, 진보, 지향을 외치는 확성기로 존재할 뿐이다. 이 소름끼치는 진실!

 

 

노동하는 사람들은 김숨의 다른 소설에도 자주 등장한다. 밤새 수십 마리의 뱀장어를 잡아야 얼마의 돈이나마 벌 수 있는 아버지(「모일, 저녁」), 장장 구만 오천 킬로미터나 달린 중고 트럭으로 밤낮없이 이삿짐을 나르는 아버지와, 독성으로 손가락이 꺼멓게 죽어가도록 혁대에 본드를 붙이는 어머니 (「트럭」), 이십 년을 꼬박 싱크대공장 사장의 개인운전기사로 일하다가 교통사고 이후 운전대를 잡지 못해 바위만 타러다니는 아버지(「바위1」).   

소설이 끝나도, 그들의 노동만은 도무지 끝나질 않는다. 

「트럭」의 아버지는 자식이 취직을 하고난 뒤에도 자정쯤 걸려온 전화를 받고 이삿짐을 나르러 집을 나선다. 그리고 아직 취직을 하지 못한 큰아들이 그런 아버지를 따라나선다. 어머니는 독성 때문에 환각에 취해 있으면서도 혁대에 본드를 펴바른다.

가족과 저녁을 먹기 위해 소설 내내 생선을 굽던 「모일, 저녁」의 아버지는, 생선을 굽다 말고 소설의 끝에 가서 홀연히 사라진다. 그는 뱀장어를 잡으러 나간 것이다. 오랜만에 집으로 온 딸과 함께 저녁을 먹기 위해 지겹도록 생선을 굽던 그는 결국 밥도 먹지 못하고 노동하러 사라진다. 소설은 그렇게 끝나고 말지만, 그의 노동은 새벽 내내 이어질 것이다.

 

이런 삶은, 세습된다.

그건 『철』 또한 마찬가지이다. 조선소 노동자로 일했던 아버지들의 아들들 또한 조선소 노동자가 된다.   

부모들은 자식들에게 말한다. "얼른 자라서 조선소 노동자가 되어라."

 

조선소 노동자들에게는 믿고 의지할 것이 오로지 조선소에서 주어지는 노동밖에는 없었다. 그들은 온종일 힘써 노동하면서도 노동에 갈급했다. 노동은 그들에게 일종의 구원이자 일종의 축복이었으며 일종의 선이었다. 그리고 노동은 일종의 종교이기도 했다. 그들은 노동을 통하여 회개했고, 노동을 통하여 죄 사함을 받았다. 그들이 구하여야 할 것은 노동밖에 없었다. 행하여야 할 것 또한 노동밖에 없었다. 축복과 평안도 노동 안에서만 갈구했다. (19쪽)

 

나 또한 종종 노동을 통해 '죄 사함'을 받는다.

아침 저녁 출퇴근 길에 이 책을 조금씩 읽었다. 일하러 가거나 하룻동안 자신에게 주어진 노동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들 틈바구니에 서서 이 책을 읽는 동안 내가 느낀 감정이 '안도'였다는 걸 고백하고 싶다.

대학을 졸업하고도 취직을 못해서 집 안에만 있었던 일 년여의 시간 동안 내가 느꼈던 감정이 '죄의식'이었다는 것 또한 말이다.

(그땐 부러 '현대사회의 인간들은 지나치게 노동하고 있다'는 식의 책만 찾아읽곤 했었다. 사람들에겐 아닌 척 했지만, 아니 나 스스로에게도 아니라고 말했지만, 소속도 없고 밥벌이도 못하고 있다는 상황에 많이 불안했던 것 같다.)

좋아하는 커피를 한 잔 사마실 때도, 읽고 싶은 책을 한 권 살 때도 여지없이 죄의식이 끼어들었다.

왜냐하면, 내가 이런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 까닭이 다른 데 있었기 때문이다.

나 대신 다른 사람이, 내 가족이 노동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자각. 

밥벌이를 하고 있는 지금은 커피 한 잔을 사마실 때마다 다른 이유로 흠칫흠칫 놀란다. 아, 난 이제 이걸 정당하게 사마셔도 되는구나 싶어서.

 

이 소설의 마지막 장면과 작가의 말 때문에 출근길에 눈물이 울컥 솟았다.

 

마을 사람들은 지붕 위에서 비를 쫄딱 맞으며 북쪽을 향해 목을 빼고 앉아 있었다. 마침내 완성되었다는 철선이 물 위로 떠오르기만을 기다렸다. 지난 삼십사 년 동안 수천의 노동자들이 완성을 위해 매달려온 철선이 기적처럼 나타나, 자신들을 태우고 지상낙원으로 데려다주기만을 바랐다. (……) 

"저기, 철선이다!"

그때 누군가 마을이 떠나가도록 소리 질렀고, 지붕에 쪼그리고 앉아 있던 사람들이 일제히 북쪽을 향해 젖은 몸을 일으켰다.

그 누군가 또 "철선이다!" 하고 소리 질렀지만 햇빛이 너무나 눈부셔서 사람들은 철선을 제대로 볼 수 없었다. 긴장된 침묵에 잠긴 채 서로의 눈치만 살피던 사람들은 저마다 기어들어가는 목소리로 '철선'을 탄식처럼 외쳐댔다. 언젠가 만국박람회장에서처럼, 빛이 한순간 점멸하듯 사라져버릴까 두려워하며…… (259쪽)

 

그 '누군가'를 붙잡고 물어보고 싶어진다. 당신은 정말로 철선을 본 적이 있느냐고.

 

작가의 말 말미에 이렇게 적혀 있다.

 

그래도 된다면

일개일 뿐인, 세상의 모든 위대한 당신들께 이 소설을 바친다. 라고. 일개. '보잘것없는 한낱'이라는 뜻을 가진 낱말.

나는 붐비는 지하철 안에서 '일개', '위대한 당신들',

그리고, '그래도 된다면'이라는 글자를 눈이 시려질 때까지 쳐다봤다.

 

김숨의 다음 소설이, 진심으로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