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더스 키퍼스 - 찾은 자가 갖는다 빌 호지스 3부작
스티븐 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티븐킹은 그의 소설 작법에 관한 책인 <유혹하는 글쓰기(On writing)>에서 미저리의 등장인물 중 작가인 폴 쉘던이 그의 분신과 같았다고 고백한다. 당시에 약물중독에 빠져 있던 그의 상황이 반영되었던 것으로, 희대의 악역 중 하나로 꼽히는 애니 윌크스가 당시에 그를 괴롭히던 약물의 화신이었다고 그는 회고한다. 이러한 배경을 감안하면 이번 작품 <파인더스 키퍼스>에서 초반에 죽는 은둔한 천재 작가 로스스타인이 등장하는 것이 쉽게 간과할 사실이 아님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스티븐킹은 이 천재를 초반에 죽임으로써 어떤 사실을 드러내고 싶었던 것일까. 이것은 이 책을 관통하는 중요한 화두는 아닐지 몰라도 그의 작품을 다 읽고 싶어하는 분들에게 있어서는 쉽게 넘어가지 말아야할 부분 중 하나이다.

           전체적인 내용 전개방식은 그의 다른 작품들과 비슷했다. 느긋하게 전개되다가 뒤에서 빵빵 터뜨려서 독자로 하여금 화장실을 갈 시간도 주지 않는 그의 주특기는 이 작품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모리스와 피트의 배경을 초반부에는 다소 길다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천천히 진행한다. 피트의 가족이 처한 상황-아버지 톰의 불운한 사고-은 전 작품 <미스터 메르세데스>와 연결 지점이기도 하지만 이 사고를 자세하게 묘사함으로써 작가는 피트가 아니라 톰이 더 주요한 인물이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게 한다. 여기에서 스티븐킹의 필력은 어김없이 드러난다. 이런 천천한 전개를 지루하지 않게 만드는 것은 그를 제외한 몇몇이 아니면 거의 불가능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모리스가 보여주는 광기는 스티븐킹의 다른 작품들의 악역만큼은 아니었지만 그가 가진 문학 작품에 대한 집착, 그리고 그것으로 가석방을 얻게 되기까지 노력하는 모습은 적당한 긴장감을 조성해 책을 읽는 내내 지루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있었다. 또한 저자 스티븐킹 본인은 트위터를 활발하게 사용하는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그 플랫폼을 통해서 정치적인 사안 등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자주 내비치고 있는데, 그것으로 인한 것인 것 이 책에는 한국에서는 오뉴블이라는 애칭으로 불리고 있는 tv 시리즈 ‘Orange is the New Black’을 언급하기도 하는 등 최신 유행에 민감하다는 것을 은근히 내비치고 있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들 또한 스티븐 킹의 작품을 지루하지 않게 읽고, 동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는 느낌을 주는 매력 포인트라고 생각한다. 다만 아쉬웠던 부분은 제롬의 재치 있는 말들이 원서로 읽었더라면 더욱 재미있었을텐데 하는 부분이었다. 한국은 인종차별 문제가 심각하다. 모 유명 연예인이 방송에서 알리샤 키스는 흑인 치고는 이쁘다라고 할 정도로 인종차별에 대한 자각이 부족하다. 그러나 미국은-미국인들이 전부 다 인종차별주의자가 아니라는 것은 아니지만-비교적 인종차별에 대한 경각심이 있고, 그 과정에서 이것을 역으로 희화화할 수 있는 경지에까지 이르렀다고 말할 수 있는 바, 제롬의 대사들은 보다 깊은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이 부분이 한국어로 번역하는 것이 힘들었던 것 같고, 이러한 맥락에 유의하고 읽을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았을까 약간 아쉬운 느낌이 있었다.

           빌 호지스 삼부작의 두번째 편이기에 이 작품을 가장 잘 즐기는 방법은 <미스터 메르세데스>를 읽고 읽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시간이 여의치 않는다면 이 작품만 읽어도 전체적인 줄거리를 이해하는 것에 큰 불편함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중요 사건이 끝난 이후에 후반부 몇 페이지의 내용은 이전 편을 읽어야 이해가 가능한 부분이지만 이것이 이 작품의 큰 틀을 가리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스티븐킹의 필력은 많은 이들이 인정한 것이기에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책 뒤 표지에는 뉴욕타임즈가 스티븐킹의 넘치는 상상력을 찬양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이 책은 그의 상상력을 보여주기 보다는 그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작품을 써내는지를 잘 드러내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미국의 대표적인 대중 소설 작가가 한국 나이 70을 바라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소통하려고 노력하는 스티븐킹이라는 사람을 보여준다. 많은 사람들이 이 작품의 내적인 부분에 대해서 평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 서평을 통해서 작품을 밖에서 바라보는 것에 대해서, 작가와 연결지어 바라보는 것에 대해서 다뤄보고 싶었다. 그렇게 한다면 이것이 스티븐킹이라는, 식을 줄 모르는 열정을 가진 사람을 보여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