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의 어둠 - 2조 엔의 이익에 희생되는 사람들...
MyNewsJapan 지음, JPNews 옮김 / 창해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아침 일찍 손석희의 시선집중을 듣다가 우연히 3년전에 쓰여진 책이지만, 미국의 리콜의 사태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책이라는 소개로 집어들게 되었다.
 기존, "렉서스의 꿈" 이라든지 도요타의 경영방식이며 기술혁신 방식이며, 많은 부분의 긍정적인
예시와 그 당시의 경제적 상황을 미뤄볼때 굉장히 잘하고 있는 모범적인 회사라는 인상을
 지울수 없었다.
 근래에 들어 터지는 뉴스를 듣다보면 미국에서 토요타 죽이기가 마치 시작된것인가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지만, 3년동안 숨겨저 몇몇에게만 읽혀왔다는 (일본내의 언론사들의 기피로 인해 출판이 저지됨)
 얘기를 듣고 급하게 이 책을 넘기게 되었다.
 무엇보다, 이 책의 전반적인 느낌은 한국의 삼성공화국이라면, 이곳은 도요타 인민공화국같은
 인상을 지울 수 없었다.
 노동자의 과로사가 노동법에 의해 보호되어 보상받지 못하는 현실,
 수많은 리콜 사태에도 언론에 스폰서쉽을 자청하며 언론 입막기에 급급한 현실
 자살 빈도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복지적의 낙후를 거듭하고 있는 현실
 
그동안 도요타의 일류 품질이란 것은 어찌보면 광고에 의해 나의 뇌속에 각인한 하나의 이미지였던가
하는 생각을 많이 갖게 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리콜의 빈도사 일본내에서 최대로 많다는 것이였다.
 물론 많은 차를 생산하지만, 생산대수에 비례해서 굉장히 많은 횟수를 기록한다는 건,
 그렇게 좋은 품질은 아니니라.
 
 그리고, 저 리콜의 판단니 자국내의 공무원들의 정보 숨기기, 언론의 단점 숨기기에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 다음엔, 좀더 도요타의 차가 그렇게 성능적으로 우수한 업체만은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갖게하였다.
  하지만, 비단, 도요타 뿐만은 아니겟지만, 대기업의 물질만능주의적 횡포 (언론의 막대한 광고로 인한
 언론의 차단, 공무원들의 정보미공개등.)는 어디에나 있겟다는 생각은 지울수 없지만,
 믿어왔던 도요타는 좀더 심각한 근로조건이구나 하는 생각을 지울수 없게 되었다.
 구석긴 시골에서 말그대로 생활이 아닌 서식하게 만드는 체제에 가족을 돌볼수 없다면
 일확천금을 준다그래도 바꿀수는 없는게 아닐까?.
 보람을 느끼고, 일한 것에 대한 보상이 이뤄지는 체제가 아니라면, 어느 일조차도 의미가 없다고 생각
한다 물론, 개인적인 일에 대한 모티브가 기본이 되어야하겠지만,.
 
 결론적으로 이책을 통해 도요타라는 회사의 복지정책 및 이미지 간구를 위해 물불을 안가리는 정책에 대해
 한번쯤은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책이라 생각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