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 4 (반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신1-2편은 무척이나 기대대는 전개로 읽으면서 긴장되고 재미있게 보았던 기억이 난다.
상상의 나래를 펼치는 작가의 생각에 마냥 뛰어다닌 기분이였다.
하지만, 3편부터 시작되는 베르베르식의 철학과 사상은 자뭇 어둡고 침울하게 다가온다.
그는 확실히 글을 재밌고, 탄력있게 하는데는 큰 재능을 가진 사람이고 뛰어난 작가이다.
하지만, 그의 사상이 너무 묻어나며, 사실과 이상을 어지럽게 만들법한 것들로 사람의
마음을 뒤숭숭하게 하는 부분도 없지 않다고 하겠다.
어찌보면 한편에 잘써진 소설이며, 이 지금까지 나온 4권을 읽는 독자라면 정말 재밌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될것이다.
하지만, 베르베르의 책에서 나온 사상을 보면 염세적이며, 현실도피적인 요소들이 너무나 많이 등장한다.
현실보단 죽음을 통해 환생해야 한다는 윤회설이나,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지금의 것들은 그대로
내버려 둔채로 다음 세상에선 잘해야겠다는 식의 체념주의라든지.
신은 없고, 인간은 계속 끊임없이 살고 죽기를 반복하며, 인간의 노력으로 신의 경지까지 오를수 있다는
그러니까 자연의 법칙 또한 인간 스스로 창조할 수있고, 거스를 수 있다는 극단적 인본주의의 냄새는
그렇게 썩 좋은 인상을 주진 못하다.
특히 3부에 접어들면서 내용의 서술에 기술하기 보단 작가는 자신의 철학을 무척이나 강조하지 않았나
싶다. 내용의 심화를 위해 설치했던 장치들이 너무나 기괴하고 너무 깊숙히 들어가 버리게 하는건
읽는 사람의 기분으론 그리 썩 좋지는 않았던 것 같다.
나의 단적인 생각일 뿐이다.
하지만, 이건 구분해야 한다. 이책은 소설이다. 너무나 잘 써져있고, 내용과 구성이 탄탄하며, 군더더기
없이 잘 소화되는 그런 소설이다. 베르베르의 문장력은 대단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3권과 마찬가지로 그의 사상은 4권에는 더욱 집약되어 있고, 염세주의로 몰고갈 우려가 있을법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직 끝난것 같지 않는 이런 전재는 무언가 아쉬움또한 남는다. 다시 다음 편을
어떻게 기다려야할 지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