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뭐래도 우리는 민사고 특목고 간다
김형진.박교선 지음 / 글로세움 / 2005년 7월
평점 :
품절


이번에 난 '대일외고'를 목표로 진학하겠다는 생각에 읽게된 책이다

외고를 준비하기에 늦은 감이있어 불안하고 종합학원도 고민해보고 인강도 고민하면서 읽은 책이다.

이책은 특목고를 생각하고있는 아이와 어머니에게 정말로 좋은 책인 것 같다.

특목고에 가야하는 근본적인 이유,그리고 목표를 향해 나가는 아이와 그 아이를 열심히

후원해주는 어머니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참 많은 감정을 느꼈다.

학교 선생님들이 읽고나면 '선생님이란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라는 생각을 하게 될 책인 것 같다.

감히 이나이에 이런 문제를 거론하긴 좀 그렇지만 요즘은 사교육 열풍이다 뭐다 하는데

공교육이 사교육만큼이나 잘 운영되면 그럴 리가 없을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텔레비젼에서 본것이지만 미국이나 유럽의 선짐국의 학교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재능을 발휘할 기회와

공간 그리고 지원을 아끼지 않는 모습을 보았다. 또 학교 뿐만아니라 구청이나 시청같은 공공기관에서도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해 남녀노소가 모두 배울 수 있는 진짜 "공공기관"을 만들어 놓고 있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다.물론 학원선생님들은 학교선생님보다 적은 수의 아이들을 수준별로

가르친다고 해도 공교육의 한계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더 많은 지원을 통해 우리나라의 '영재'들을

만들어 내야할 나라가, 학원에 밀린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거다.

선생님이 조금더 열성적으로 배려를 한다던지 학교를 오전 오후로 나눠서 

수준별학습을 하는 것도 좋을 것 이다. 또 이외에 외국나라들 같은 경우 나라의 유명한 예술가들을 초청해

방과후 예술교실을 열고 또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의 여러 말씀과 경험, 또 진로를 얘기하고 나누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그리고 내생각엔 선생님들이 아이들에게 좀더 잘 살펴보면 분명히 잘하는 점이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우리 반 친구 노XX씨는 공부를 잘하지 못하다.하지만 축구를 잘해서 축구부에

들어가 축구 실력을 지금부터 키워 나가고 있고 또 우리학교 축구부는 근방에서 축구를 잘하기로

소문나 있다.  그래서 우리학교는 작년(2006년) 인조잔디를 운동장에 깔았고 우리 축구부 애들은 더 열심히

축구 연스을 할 수 있게 되었다.이렇듯 우리학교 축구부처럼 각 분야의 영재들을 발견하는 일은 조금 더

아이들을 살펴본다면 가능한 일이다.

이책을 쓴 저자는 수학 선생님이었다. 그선생님은 위와 비슷한 생각을 했으며 영재를 발굴 해 내는데에

아니 재능을 찾아 영재로 키원내는데에 즐거움을 느꼈다고 책에 나와있다.

그래서 방학동안 영재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짜는데 교장 선생님은 조용히 정년퇴직을 하고 싶었기

때문에 그 프로그램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 후 그 선생님은 안정된 직장인 학교 교사를 버리고 학원을 세워 영재 사관학원을 세우게 되는 것이다.

그후 많은 아이들을 민사고와 특목고에 보냈다. 이런 선생님이 많다면 학교에서도 충분히  가능 할 것 같다.

앞으로 공교육이사교육보다 더 좋은 시스템을 갖길 원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