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윈의 사도들 - 최재천이 만난 다윈주의자들 ㅣ 드디어 다윈 6
최재천 지음, 다윈 포럼 기획 / 사이언스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이번에 출간한 <다윈의 사도들>은 세계적 석학들,
그 중에서도 다윈주의자라 꼽을 수 있는 석학들과
직접 인터뷰한 대담집이다.
ㅡㅡㅡㅡㅡㅡ
다윈주의란?
다윈주의 또는 다위니즘(Darwinism)은 잉글랜드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1809~1882년) 등이 개발한 생물학적 진화 이론으로, 모든 생물종들이 크기가 작은 유전형들의 자연선택을 통해 발생하고 발달함으로써 개체의 생존, 번식 능력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 다윈론(Darwinian theory)이라고도 부르며 다윈의 이론보다 앞선 개념들을 포함한 1859년 종의 기원을 다윈이 출판한 이후 과학계 전반에 수용된 생물변이설의 개념을 포함시켰다. 영국의 생물학자 토머스 헨리 헉슬리는 1860년 4월 다위니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ㅡㅡㅡㅡㅡㅡ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를 출간한 해는
1976년이다.
당시에는 '집단선택설'이 만연해 있었다.
막연히 자연선택이 종의 이익을 위해 작용할 거라 생각했다.
도킨스는 이러한 믿음이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자연선택은 종의 이익이 아니라, '유전자'라는 단위를 위해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노력했다.
또 '밈'이라는 단어를 직접 만듦으로써,
한국에서는 이미 대중적 아이콘으로
자리잡았다. (최재천 교수는 이 책에서 밈 대신 '선전자'라는 단어로 대신하고 있다. )
<저는 자연선택은 스스로 자신을 돌보는
단위, 즉 이기적인 단위를 선호한다는 걸
다윈의 언어로 설명하려 했습니다.
다윈주의적 계산을 올바르게 하고 싶다면,
가장 간단한 방법은
"내가 만약 이기적인 유전자라면,
이 시점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라고
묻는 것입니다.
- 도킨스, 본문 책 170-171p>
최재천 교수가 도킨스에게 묻는다.
왜 다윈이 그토록 중요하냐고 말이다.
그러자 도킨스는 이렇게 대답한다.
<다윈은 아마도 우리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질문인
"우리가 왜 존재하는가?"에
답을 제공한 사람입니다.
우리는 아직 모릅니다.
그들은 물리법칙을 어기지 않지만
자연선택을 통한 진화라는
놀라운 과정을 통해
물리 법칙을 확장해 갑니다.
진화는 우리를 포함해 생명이라 불리는
기상천외한 현상을 낳았습니다.
그것은 결국 신경계의 진화와 그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커다란 뇌의 진화로 이어졌습니다.
이를 설명할 수 있게 해준 이가
바로 다윈입니다.
- 도킨스, 181p.>
바야흐로 '생물학의 세기'다.
그가 이끄는 다윈포럼은 2005년 창설한 이래,
현재까지 15년동안
다윈의 획기적인 발명품인 진화론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소개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그가 만난 12명의 다윈의 사도들과 함께
최재천 교수 역시 한국의 다윈주의자,
다윈의 사도로 기억될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