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올리버 색스 지음, 조석현 옮김 / 이마고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언젠가, ‘그것이 알고 싶다’에 나온 기.면.증.
평범한 일상 생활 속에서 갑자기 잠에 빠져 버리는 특이한 질병이다. 어떤 할아버지(?)의 경우엔, 밥숟가락을 떠서 입으로 가져가다 말고 잠에 빠져버려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하는 극도로 무서운 병이라고 한다. 우리가 게으르다고 손가락질하며 지나쳐 버릴 수도 있는 케이스들에서 받은 충격이란… 방송을 보는 내내 마음이 불편했다.
(뇌에 ‘하이포크레틴’이라는 물질이 부족해서 그렇다고... 각설하고.)
인간이란 어떤 존재일까? 단순한 물질의 구성체에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그 무언가가 더해져(성경에 따르면 하나님이 숨을 불어넣어 생명을…) 구성된 초과학적인 존재? 심리학에서는 인간을 과학의 대상으로 본다. 과학, 그렇다. 어렵긴 하나 조금은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해 준다는 매력이 있는 분야이다. 인간에 대한 호기심을 지적으로 하나하나 만족시켜 준다는 면에서 심리학은 매력적인 학문이다. 하지만 그래도 ‘그 무언가’가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은 계속 남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도 그런 의구심을 꾸준히 들었다. 뇌의 어떠한 부분에 문제가 생기고 어떠어떠한 물질이 과도하거나 부족해서 이러저러한 문제가 생기고… 하지만, 결과적으로 눈에 보이는 우리네 인간의 모습이란 그러한 설명만으로는 부족하다. 물론 그러한 ‘의지’마저도 일종의 적응 기제로 설명할 수 있겠지만…

책에 나온 주요 임상 사례들의 소재 하나하나가 흥미롭지 않을 수 없다. 인간이라는 같은 종족의 입장에서 더욱 슬픈 것일까. 책의 사례 하나하나가 가슴을 울린다. 가끔은 나도 내 뇌 속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기에 이런 ‘이상한’ 징후들이 나타나는가 무척 궁금할 때가 있다. 솔직히 내 놓고 말하기는 어려운 시시각각의 감정들, 그리고 괴로움… 그 모두를 과학적으로 설명해 낼 수 있다면, 그 괴로움이 사라지는 것일까. 해결책은 이러저러한 신경물질의 첨가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일까. 복잡한 생각들의 연속이다.

아무튼, 사례 하나하나가 픽션보다도 더 큰 흥미를 전해 준다는 면에서 그리 지루하지 않은 책 목록에 끼워 넣을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사이사이 등장하는 철학적인 얘기들이 없다고는 말하지 않겠지만, 그런 접근법도 나쁘지 않은 것 같다. 과학을 몰랐던 당시의 철학자들은 또다른 ‘심리학자’였을 테니…

아참, 일러스트가 정.말.로. 맘에 드는 책이었다.
분절된 듯하면서 이어지는 그 선들이 전해주는 병리학적인 강한 느낌이란...

<본문 내용 중에서>

나는 모래 언덕이 끝없이 펼쳐져 있는 사하라 사막의 사진이 실린 잡지의 표지를 보여주었다.
“이 사진이 뭐로 보이시나요?”
“강이군요. 물 위로 테라스가 딸린 작은 집이 있고, 사람들이 테라스에 나와 식사를 하고 있구요.
색색의 파라솔이 여기저기에 보이네요.”
그는 표지에서 시선을 떼고 허공을 보면서(본다는 말이 맞기나 한 걸까?)
사진에 있지도 않은 것들을 꾸며대서 말하고 있었다.
사진에 있지도 않은 강, 테라스, 색색의 파라솔을 상상하고 있는 것 같았다.
그의 얼굴에 나타난 미소를 보면 알 수 있었다.
그는 검사가 다 끝났다고 여겼는지 모자를 찾기 시작했다.
그는 손을 뻗어 아내의 머리를 잡고서 자기 머리에 쓰려고 했다.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것일까? 그런데도 그의 아내는 늘 있어온 일이라는 듯 태연한 모습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