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실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3
다자이 오사무 지음, 김춘미 옮김 / 민음사 / 200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섯 번의 자살 시도 끝에 소원을 성취한 다자이 오사무. 이제서야 그의 작품을 읽어 봤습니다. 요즘 저의 정신상태와 통하는 면이 있다고 느껴서일까요. 전에는 손이 잘 안 가던 책들도 절로 끌립니다. 뭐 그렇다고 그의 인생이 맘에 드는 건 아니고요. 하지만 그의 삶(책)에서는 바닥이 보이는 것 같아 약간의 대리만족도 느꼈답니다. 평범하게 살다 보면 바닥 보는 게 쉽지 않으니까요.
아시다시피 이 책은 다자이 오사무의 자전적인 소설입니다. 물론 소설이긴 합니다만, 다 읽고 나서 작가 소개 및 작품 해설을 보고 있노라면, 소설보다는 ''자전적 이야기''에 방점이 찍혀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그렇다고 어디까지가 픽션이냐 아니냐를 따질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타인의 삶이면 그 자체로 픽션일 수 있고, 픽션이면 그 자체로 어디에선가 누군가의 삶일 수도 있을 테니까요.
아무튼 참으로 우울하고 소심하고 뭐 그렇습니다. 그래도 내 의지로 태어난 세상이 아닌 한, 삶에 대해 회의해 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하기에 그의 삶과 소설이 제겐 제법 큰 의미로 다가옵니다.
나약한 인간실격자 요조. ''익살''만이 그가 가진 무기인 양 살아가다가, 간혹 자신에게 날카로운 일침을 놓는 자(예컨대 ''너 일부러 그랬지?'') 앞에서는 속내를 모두 들켜버린 꼴로 끝도 없이 자학을 해 댑니다. 그러다 합리화를 하고... 계속되는 자살 시도에, 정신 병원 수감, 약물 중독... 아주 바닥을 제대로 칩니다.
요조는 왜 그렇게 삶을 힘겨워 했을까요. 다자이 오사무의 자살 의지는 어디에서 연유하는 걸까요. 여기저기에서 이런저런 말들을 하지만, 전 잘 모르겠기도 하고 너무나도 잘 알 듯도 합니다. 정리가 잘 안 되네요. 인상 깊었던 두 구절을 적어 봅니다.

134쪽
모든 것은 지나간다는 것.
제가 지금까지 아비규환으로 살아온 소위 ''인간''의 세계에서 단 한 가지 진리처럼 느껴지는 것은 그것뿐입니다.
모든 것은 그저 지나갈 뿐입니다.
저는 올해로 스물일곱이 되었습니다. 백발이 눈에 띄게 늘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마흔 살 이상으로 봅니다.

138쪽
'우리가 알던 요조는 아주 순수하고 눈치 빠르고...... 술만 마시지 않는다면, 아니 마셔도...... 하느님같이 착한 아이였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