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날들의 기록 - 철학자 김진영의 마음 일기
김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문장 하나하나에 멈추면서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번에도 책을 사심으로(!) 가져왔습니다.
추천해봅니다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리스 은행나무세계문학 에세 8
엘레나 포니아토프스카 지음, 구유 옮김 / 은행나무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익숙한 시대 & 낯선 공간에서 펼쳐지는 한 개인의 생애. 아직 우리에겐 더 알아야 할 스페인권 문학이 있는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거기 눈을 심어라 - 눈멂의 역사에 관한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탐구
M. 리오나 고댕 지음, 오숙은 옮김 / 반비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약 우리가 어둠을 암흑으로 이해한다면, 

셰익스피어는 틀렸다.❞

_ 보르헤스




『거기 눈을 심어라』 

: 눈멂의 역사에 관한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탐구 

M. 리오나 고댕 저 | 오숙은 옮김 | 반비 출판사 

#도서협찬 #서포터즈 #반비출판사 #거기눈을심어라 


한줄 메모 📝

_ 고발서 : 인류 문화는 심각하게 시각 중심적이고 ”차별적“입니다. 


1.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탐구(?) 🙋‍♀️

”열 살 무렵의 일이다. 교실 뒷자리에서 칠판의 글씨가 갑자기 보이지 않기 시작했다…나는 일찍부터 중심부 시야를 잃기 시작하여 열여섯 살 즈음에는 보통 크기의 글자도 읽을 수 없었다(9-11).”


정말이다.

이 책은 M. 리오나 고댕 작가의 개인 이야기가 곳곳에 나온다. 개인 서사가 그냥 나오는 것은 아니고, 책 전반에 걸쳐 진행되는 시각 중심 문화에 대한 고발 같은 해설과 함께 개인의 ‘시각 장애’ 경험이 연결된다. 그렇기에 이 책은 부제에서 말하는 것처럼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탐구”를 담고 있다. 작가의 삶의 환경, 자리가 이런 탐구를 가능하게 만들었기에 작가는 개인사와 탐구를 하나의 이야기처럼 소개하고 소개할 수 있다.


주제에 대한 자격 또는 당사자성이 있는 

글쓰기는 항상 신뢰가 간다. 


2. 이용되는 맹인 캐릭터 🧑‍🦯

“그리스인들은 보는 것이 곧 지식이요, 보지 못하는 것은 곧 무지라는 생각에 상당히 집착했기 때문에, 맹인을 시인이나 예언자로 만들어 물리적 시각으로 볼 수 있는 것보다 더욱 소중하고 심오한 초월적 시야를 그들에게 보여했다. 앞을 못 보는 장님 예언자는 특히나 중요해서 하나의 클리셰가 되어왔다. 맹인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는 과학소설이나 판타지 소설은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14).“ 


그리스 고전부터 영화 <듄>까지 맹인은 자주 비범한 “예언자”로 소개 또는 소비된다. 여러 작품들 속에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비범하거나 더 비참하게만 그려진다. 


왜 꼭 그렇게만 그려져야 할까?  


『거기 눈을 심어라』에서는 (거의) 고대부터 현대까지 시각 장애에 대한 사람들의 편견을 분석하고 질문을 던진다. 그러면서 혹시 우리 문화가 그런 장애의 이야기를 ”영감 포르노“로 악용하는 것은 아닌가 묻는다.


“(헬렌) 켈러의 이야기는…영감 포르노, 즉 비장애인에게 자신이 가진 것에 감사하고, 장애물을 극복하는 씩씩한 개인의 힘을 믿게 만드는 식의 용기와 희망을 주는 이야기의 완벽한 예이다(17).”



3. Blind Love? 💔


“눈멂의 형용사 blind는 수사학적으로 너무 자주 사용되고 있어서 그 단어를 내뱉는 사람조차 이러한 표현의 사용이 실제 시각장애인들에게 끼칠 수 있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곤 한다(14).” 


우리도 모르게 우리의 언어는 시각 장애와 연결되는 표현을 맹목성(blind)와 연관 짓는다. 맹목적 사랑?조차 직역하면 ‘시각 장애를 가진 사랑’…이 되어버리니 우리의 언어란 기본적으로 차별적이기 쉽다.


『거기 눈을 심어라』에서는 호메로스, 존 밀턴, 보르헤스, 헬런 켈러에 이르는 시각 장애를 가진 이들로 대표되는 이들을 소환한다. 대표적으로 재서술되는 인물은 헬런 켈러인데, 생각보다 정치적으로도 진보적이었고 장애와 관련된 이야기도 저술한 켈러이지만… 당시 출판사를 포함한 매체에서는 “극복 서사”로서만 켈러의 삶을 조명한다. 



“문자가 구술 전통을 지배하면서, 눈먼 작가는 고사하고 눈먼 독자가 존재하기는 거의 불가능해졌다(27).” 



4. 차별을 넘어서

『거기 눈을 심어라』을 읽으며 알게 된 차별적 언어, 묘사, 문화.

이제는 대안 서사를 그려보면서 어떤 의미에선 진정한 ”우리“의 이야기를 발견해 가길 소망해 본다. 


뻔하고 차별적 언어와 문화를 넘어서서 

우리를 고민하고 우리를 발견해 가는 언어 그리고 이야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러분의 올해의 책은 무엇인가요?
한번 2022년을 정리해 봤습니다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