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공간, 이렇게 바꿨어요! - 미래 학교 만들기 프로젝트
권미나 외 지음 / 창비교육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만약 학교 공간을 바꿀 수 있다면

 

코로나때문에 많은 것이 바뀌었다. 그전까지는 별 생각없었는 것도 다시 생각하게 된다. 학교공간은 나에게 그런 것이다. 전에는 관심없었던 것, 열린 교육으로 망했던 것만 생각난다.

학교공간을 바꾸기 위해 학생, 학부모, 교사 등 모든 교육 주체들이 모이고 그 이상을 실현시켜줄 수 있는 전문가 - 건축가가 필요하다. 가장 먼저 든 생각은 모두가 학교라는 공간을 바꾸기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데 가능할까 하는 걱정이었다. 나같은 사람들은 그냥 있는데로 살면 좋다, 바꾸기 위해 모이고 회의를 하면서 시간을 버리는 것이 싫다라고 거부할 수도 있다.

여러 학교들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성공한 경우만 보면서 아쉽다는 생각을 했다. 실패의 경험도 함께 있었다면 리모델링을 계획 중인 학교에서 참고할 수 있지 않을까? 다양한 학교 사례를 읽으면서 학교라는 공간을 바꾸기 위해 생각이 변해야 하는 것을 깨달았다. 전체를 다 바꾸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작은 부분에서 점진적으로 바꾸는 것도 좋다.

여러 사례중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강원 평창고등학교 이야기였다. 학생들이 필요한 물건(벤치)를 찾아내고 직접 만들어서 교실에 설치한 이야기였는데 자신들이 직접 생각하고 만들어 사용하는 물건에 대해 주인의식을 갖고 아끼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 학생들에게 필요한 부분이라는 생각을 했다. 학교 물건을 함부로 사용하는 학생들을 보면서 속상했던 경험이 너무 많았는데 주인의식은 큰 해결책 같아 보인다. 더 재미있는 것은 평창고등학교에서 직접 만든 반과 완제품을 사다가 준 반의 차이가 너무 컸다는 것이다.

학교가 바뀌려면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학교를 구성하는 교사, 학생, 학부모의 생각이 바뀌면 더 빨라질 것 같다. 그리고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적응하고 발전해 나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105 가장 최근에 시도한 새로운 수업 형태, 적용 기술 또는 내용은 무엇입니까? 이 질문에 나에게 큰 울림을 주었다. 나는 변화하는 현실에 맞게 새로운 것을 적용하려고 노력했는가? 했던 방식에 안주하고 변화를 거부하지는 않았는지 나의 태도를 반성하게 된다.

p.126 교사들은 여러 차례 논의를 거듭하면서 관리자가 아닌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고, 만일 비품이 분실되거나 망가지면 새로 구매해 주자고 의견을 모았다. - 비품 걱정없이 관리할 수 있다면 정말 좋을 것 같다. 교실에서 공용물건(보드게임이나 기타 물품)을 사용하면서 아껴 써라, 제자리 둬라 잔소리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런 부분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