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우물 - 자선대표작품집 11
오정희 지음 / 청아출판사 / 1999년 8월
평점 :
품절


 

그녀의 우물 사용법

 

 

  오정희는 박완서와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여성작가이다. 운명을 달리한 박완서와 달리, 아직까지도 작품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오정희 문체의 특징은 남성적인 여성성이다. 사실 오정희가 문단에 처음 데뷔했을 당시의 시대적인 문단의 상황을 본다면, 이러한 문체적인 특성은 굉장히 획기적인 일이다. 그 이전까지 여성작가들이 보여준 작품들은 소외되고 항상 좌절하는 여성이었다. 그러나 오정희의 소설 속의 여자들은 좀 다르다. 분명 똑같이 소외되고 좌절하지만 그것을 보여주는 방법에 있어서 굉장한 차이를 보인다. 나는 그것이 사물에 대한 상징을 잘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우물을 만나다

 

  소설 속의 '나'는 지방도시에 사는 중년의 평범한 주부이다. 매달 똑같은 월급을 받는 직장인인 남편과 소스라치게도 그를 똑같이 닮은 아들을 두고 살아가는 상황이다. 하지만 ‘나’에게 특별한 욕망이 있다면 그것은 과거이다. ‘나’의 정신은 과거에 멈춰있다. 즉, 과거에 사랑했던 '그'를 잊지 못해 그의 전화번호를 눌러보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그런 그녀에게 갑작스럽게 ‘그’의 사망소식이 들리고, 찻집에서 어떤 남자를 만나게 된다. 그 남자는 간질증세를 보였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여자는 꿈을 꾸게 된다는 것이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꿈은 인간 무의식의 집합체이다. 주체가 생각하지도 못했던 무의식들이 잘려진 조각처럼 엉켜서 만들어내는 것이 꿈이다. 오정희는 그러한 꿈의 특성을 통해 주인공의 무의식적인 욕망을 나타내었다.

 

 

 

추억이란 물 속에서 건져낸 돌과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 물 속에서 갖가지 빛깔로 아름답던 것들도 물에서 건져내면 평범한 무늬와 결을 내보이며 삭막하게 말라가는 하나의 돌일 뿐. 우리가 종내 무덤 속의 흰 뼈로 남듯. 돌에게 찬란한 무늬를 입히는 것은 물과 시간의 흐름일 뿐이라는 것을 안다. 그러나 나는 종종 이즈음에도 옛우물과 금빛 잉어의 꿈을 꾼다.

―본문 중 일부

 

  '저절로 물이 차올라 고이는, 때로는 이유도 모르게 물이 말라 적막하게 빈' 우물은 황폐해진 여성성을 상징한다. 또한 욕망의 주체를 잃어버린 허탈함, 그 속에서 두려움을 느끼는 주인공을 보여주는 도구이다. 반면에 우물 속의 금빛은 강렬하게 생명력을 표현하는 색이다. 결국 소설 속에서 우물은 막내동생의 탄생과 금빛 잉어를 통해 생명력을 상징한다. 그와 동시에 우물 속에 빠져 죽은 정옥을 통해 죽음 역시 나타낸다.

 

 

 

 

  오정희는 이렇게 우물이라는 소재를 통해 죽음과 삶은 결국 이어져있고,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는 것을 굉장히 철학적으로 보여준다. 죽음과 삶이라는 어찌 보면 단 일인치의 차이인 것들이 결국 우물 속으로 함께 결합되면서 탄생과 죽음은 하나라는 결론에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다.

  오정희는 소설 속에서 분명 욕망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나약한 여성을 그리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그녀가 좌절하는 모습만 보여주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굉장히 강인하고 굵은 문체로, 그 여성의 심정을 잘 드러내는 ‘텅 빈 우물’을 잘 나타내고 있다. 이것이 오정희의 문학이 가지고 있는 가장 아름다운 표현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