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과 삶 - 융의 성격 유형론으로 깊이를 더하는
김창윤 지음 / 북캠퍼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을 살면서 빠질 수 없는 것이 인간관계이다.

우리는 태어나기 전부터 죽은 후까지 인간에 둘러쌓여 살아간다.


세계화가 된 지금은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넘어 전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도 교류를 하며 살아야 하는 시대이다.


그렇기에 인간의 보편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조화와 화합을 이루며 서로 협력하는 능력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나의 부족함으로 종종 이해할 수 없는 사람들을 만나곤 한다.

그럴 때마다 점점 더 포용력이 넓으졌으면 좋겠다고 소망한다.

내가 더 마음이 크고, 더 능력이 있는 사람이 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거라고 상상한다.


이 책은 성격을 알면 사람이 보인다고 한다.

그리고 칼 구스타프 융과 동서양 철학에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기에 호기심이 갔다.


묵직한 책의 느낌만큼 내용도 진지했지만, 책을 읽으며 생각보다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저자는 직접 접한 사람들의 사례를 예로 들며 다양한 이론들을 제시하고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다. 덕분에 나도 그동안 만나왔던 사람들을 떠올리며 저자와의 생각의 차이를 좁혀갈 수 있었다. 


지인들이 삶에 힘들어 할 때마다 어떻게 위로하고 응원할지 몰라 고민이 될 때가 있다.

나 또한 삶에 지쳐 무기력해질 때가 있다.

그때마다 유명한 구절을 생각하곤 했다. 

'이 또한 지나가리라.'


그런데 책은 다른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얼마전에 다른 책에서 봤던 문구이기도 하다.


아모르파티.

현실은 허무하고 뜻대로 안될 때가 많으니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내가 긍정적인 삶을 살기 위해 언제나 노력하는 것이 있다.

기쁘게 받아들이고 감사하면 그것이 바로 내 뜻이 되는 것이다.


연말을 차분하게 정리하며 새로운 2021년을 다짐하기에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