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에 한번은 차라투스트라 - 니체와 함께 내 삶의 리듬을 찾는 ‘차라투스트라’ 인문학 강의
이진우 지음 / 휴머니스트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다 읽고 난 후에 기억에 남은 건 딱 두가지다.


'아모르파티'

'웃자'


작가는 책에서 정답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고 했는데, 나는 결국 내가 지금 원하는 것을 찾아내고야 말았다. 그리고 기어코 카카오톡의 프로필을 편집을 통해 'Amor fati'라는 라틴어를 새겨넣고 나서야 만족을 했다. 어제 나 자신을 몰락시키지 못해 결국 웃지 못하고 자리를 박차고 나왔던 것이 부끄러웠다.


나의 운명을 사랑한다는 것은 정말 감성적이고 멋진 일이지만, 현실은 녹록하지 않다. 스스로 빛이 나는 초인이 되고 싶은데, 나는 또 어딘가 멋지고 화려한 이벤트를 찾아내서 그 속에서 스스로 군중이되고 빛을 받는 사람이 되고야 만다. 그리고 새로운 것에 한발 내놓기에 앞서 위험하지는 않을까 고민 또 고민하며 망설이고야 만다.


나의 운명을 모두 겸허히 받아들이는 자세를 나의 내면에 길들인다면, 그 무엇도 두렵지 않을 것 같다. 니체가 말한대로 몸을 가볍게 춤을 추듯이 인생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멀리 떠나는 것은 다시 돌아오기 위해서라고 한다. 나에게서 멀리 떠나 다른 사람들의 생각이 깃들여있는 장소를 탐방하고, 책을 읽고, 대화를 나누며 결국은 나 자신을 발견하는 것이 인생이라고 한다.


책의 내용 중, 차라투스트라의 사랑에 대한 다섯가지 생각이 깊이 남았다.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행위를 약속하는 것이라 했다. 영원한 행위. 반복적으로 영원히 할 수 있는 행위를 약속하는 것이라고 사랑을 정의하고 나니, 나와 맺고 있는 관계들이 다르게 생각이 되었다. 가장 친한 친구와 우정을 맺듯이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는 것이 아름다운 결혼이 될 수 있다는 책의 내용이 마음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