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적 파상력
김홍중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학자 김홍중 교수는 이론적 치밀함과 미학적 문체를 겸비한 학자다. 단독 저서로는 <마음의 사회학>(2009)과 <사회학적 파상력>(2016)이 있다.
내게 앎의 전율을 선사한 이 책들을 읽는 법 몇 가지를 소개한다. 인생은 짧고 읽을 책은 많다. 이 글은 그래서 궁여지책이다.

 

1. 두 권 중 하나만 읽어야 한다면, <사회학적 파상력>을 읽어라. 그는 학문적으로 빠르게 진화 중이다. 다음에 쓴 글이 늘 더 좋다.
 
2. <사회학적 파상력>을 다 읽지 못 한다면, 4장 리스크-토템, 7장 서바이벌, 생존주의, 그리고 청년세대, 12장 사회적인 것은 무엇인가? 14장 마음의 사회학을 이론화하기 만이라도 읽어라.

 

3. 7장을 읽기 전에 14장을 먼저 읽어라. '마음의 사회학'이라는 이론적 틀이 어떻게 청년문제를
해석하는지 명확하게 보일 것이다. 14장 글을 발표하고 쓴 글이 7장이다.

 

4. 한나 아렌트에 관심이 있다면, 12장은 건너뛸 수 없는 글이다. 아렌트 논문 중 지구상에 이 보다 뛰어난 글은 찾기 힘들 것이다.

 

5. 그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파상력'과 '풍경'을 이해하려면 <마음의 사회학> 5장 다니엘의 해석학 - 풍경에 대한 사회학적 가능성 과 6장 파상력이란 무엇인가? 는 읽어야 한다.

 

6. '마음의 사회학'을 더 깊이 읽고 싶다면, 인지과학과 진화심리학에 대한 책들을 권한다. 마음(인지적/감정적/의지적)의 미시 구조와 작동 방식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역줄기뚝딱 2020-02-29 23: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알라딘에서 이렇게 자신감 충만한 책 추천 리뷰 처음 봅니다. 책 읽고 싶어졌습니다. 그런데 선생님 혹시 6과 관련해서요 인지과학과 진화심리학 책 몇 권 추천해주시겠어요? 입문하고 흥미 갖는 데 적격인 그런 것으로요. 다시 한번 좋은 책 추천 고맙습니다.

히드라 2020-03-03 09:58   좋아요 0 | URL
진화심리학에 입문하려면, 데이비드 버스 <진화심리학>과 전중환 교수의 책들을 우선 보시면 좋습니다. 인지과학 입문서는 저도 마땅한 걸 찾지 못 했고, 그냥 제가 재미있게 읽은 인지심리학쪽 책으로는 스티븐 핑커의 <빈 서판>이 있고, 행동 경제학의 창시자 대니얼 카너먼 <생각에 관한 생각>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