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섭 1916-1956 편지와 그림들 - 개정판 다빈치 art 12
이중섭 지음, 박재삼 옮김 / 다빈치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중섭, <이중섭 1916-1956 편지와 그림들>

 

 

[끝끝내 만나지 못한, 그래서 더 절절한 사랑 이야기]

 

   붉은 배경의 황소그림으로 유명한 이중섭. 이 책은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이중섭이 일본인 아내(마사코/한국이름 이남덕)와 두 아들에게 보낸 편지, 그리고 그의 작품들이 담겨있다. 그가 남긴 편지는 아내를 향한 사랑과 가족을 향한 그리움이 한데 겹쳐 하나같이 절절함이 묻어난다.

 

    일본에서 유학하던 시절, 지금의 아내인 후배 마사코를 알게 되고 둘은 사랑을 약속하며 따뜻한 미래를 꿈꾸지만 현실은 가혹했다. 그가 살았던 시대(1916-1956)를 봐도 알 수 있듯, 그는 우리나라의 일본 식민시대와 해방, 독립, 6.25전쟁 등 온갖 고난의 시기를 지나야 했다.

 

    애국자였던 그가 일본과 대립구도를 이루고 있던 국가 분위기 속에서, 일본인 아내를 두고, 작품 활동을 하며 살아가는 일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지독히 가난했고, 남의 신세를 자주 져야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중섭의 편지에는 긍정적이고 희망찬 미래를 기대하는 말들이 가득하다. 무엇보다 자신의 두 아들들에게 아빠가 가면 꼭 자전거 사줄게. 조금만 기다려라고 말하는 부분은 정말 눈물겹다.

 

    자신은 밥을 굶고, 난방을 떼지 못해 덜덜 떨어가며 작품을 그리면서도 끝까지 아내와 두 아들의 건강을 걱정하는, 뼛속부터 다정한 남편이자 아빠였던 이중섭. 그와 이남덕 여사, 두 아들이 결국은 만나지 못했다는 사실, 병실에서 홀로 생을 마쳤던 그의 외롭고도 고달픈 삶이 헤아릴 수 없이 긴 여운을 남겨준다.

 

 

* cf )

  1. 그의 편지는 모두 일본어로 쓰였고, 그것을 박재삼씨가 한국어로 번역했다.

  2. 편지글에 나오는 아고리는 턱이 길다고 해서 붙인 이중섭의 애칭이고, ‘대향구촌은 이중섭의 호이다. 발가락 군은 발가락이 예쁘다고 해서 붙인 이남덕 여사의 애칭이다.

 

 

  "춥고, 배고픈, 그런 괴로운 때는 사경을 넘어 분명히 아직도 대향(이중섭)은 살아남아 있으니까 이제 조금만 더 참으면 사랑하는 아내와 자식을 만난다는 희망과, 생생하고 새로운 생명을 내포한 믿을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지시하고 행동하는 회화를 그릴 수 있다는 희망으로 참고 견뎌왔던 것이오." p18

 

 

 

    "남편으로서 아빠로서 정말 미안하다고 생각하고 있소. 그러나 앞으로 대향은 꼭 훌륭하고 새로운 예술을 창작하고 표현할 자신으로 부풀어 있으니 이제부터는 당신에게나 아이들에게나 좋은 남편, 좋은 아빠가 될 생각이오. 멀지 않았소." p44 

 

 

 

   "나의 호흡 하나하나는 귀여운 아내, 남덕의 진심에 바치는 대향의 열렬한 사랑의 언어라오. 다정하고 따뜻하고 살뜰한 당신의 모든 것만을 나는 생각하고 있을 뿐이오." p48

 

 

  "우리 가족 넷이서 단란하게 손을 잡고, 힘차게 대지를 밟으면서 정확한 눈, , 눈으로 모든 것을 분명하게 응시합시다. 한 걸음 한 걸음을 확실하게 내디딥시다. 돈 걱정 때문에 너무 노심하다가 소중한 마음을 흐리게 하지 맙시다. 돈은 편리한 것이긴 하지만, 돈이 반드시 사람을 행복하게 해주지는 못하오. 중요한건 참 인간성의 일치요. 비록 가난하더라도 절대로 동요하지 않는 확고부동한 부부의 사랑 그것이오. 서로가 열렬히 사랑하고 사랑하고 사랑하고 사랑하고 사랑한다면 행복은 우리 네 가족의 것이 아니겠소. 안심하시오. 가난해도 끄떡없는 우리 네 가족의 멋진 미래를 확신하고 마음을 밝게 가집시다

." p59-60

 

 

 + 부록 : 이중섭의 인품과 예술, 구상

   "중섭은 참으로 놀랍게도 그 참혹 속에서 그림을 그려서 남겼다. 판잣집 골방에 시루의 콩나물처럼 끼어 살면서도 그렸고, 부두에서 짐을 부리다 쉬는 참에도 그렸고, 다방 한구석에 웅크리고 앉아서도 그렸고, 대폿집 목로판에서도 그렸고, 캔버스나 스케치북이 없으니 합판이나 맨종이, 담배갑, 은종이에다 그렸고, 물감과 붓이 없으니 연필이나 못으로 그렸고, 잘 곳과 먹을 것이 없어도 그렸고, 외로워도 슬퍼도 그렸고 부산제주도통영진주대구서울 등을 표랑전전하면서도 그저 그리고 또 그렸다."  p2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