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하는 여자 - 체육관에서 만난 페미니즘
양민영 지음 / 호밀밭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운동하는 여자>는 여성이 운동을 하면서 느끼는 성차별적 시선과 부당함을 페미니즘 시각에서 풀어낸 책이다. 사실 내겐 운동과 페미니즘 모두가 가깝고도 멀고, 익숙하면서 낯설기도 한 이중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런데 이 두 가지를 함께 생각해야 하는 책이라니, 만만치 않은 과제 같다. 나도 늘상 다이어트라는 인생 최대의 숙제를 안고 헬스장을 드나든다. 그럼에도 운동은 늘 친해지기 어려운 존재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면서 나도 모르게 내 우스꽝스러운 자세나 출렁이는 뱃살을 신경쓰며 운동하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고는 한다. 이것은 대개 헬스장을 점령하고 있는 뭇남성들의 시선을 신경쓰고 있다는 증거다. 소매가 없는 망고나시 티나 다리에 달라붙는 레깅스가 운동하기엔 훨씬 편하다는 사실을 알지만 타인 특히 남자들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을수가 없다. 그래서 나는 늘 레깅스 위에 반바지를 덧입고 헐렁한 티셔츠를 입고 운동을 하는데 저자는 이런 것들이 곧 '여성의 신체를 눈요기거리로 소비하는' 사회의 잘못된 통념 때문이라 말한다.


<레깅스 너 보라고 입은 게 아닙니다>라는 소제목이 달린 글에서는 운동하는 여자에 대한 시선

테러가 더 노골적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런데 이 글이 인터넷에 게재된 후 댓글로 많은 공격을 받은 모양이다. 단순히 비판 정도가 아니라 입에 담지 못할 인신공격을 많이 받았으며 - 아마도 대부분 남성이었을 것이 분명한 악플러들 때문에 더 치열한 고민 끝에 책까지 내게 된 듯하다. 오래도록 남성의 전유물이던 운동의 영역에 여성이 침범한 것처럼 받아들여지는 상황. 남성도 레깅스처럼 밀착된 운동복을 입지만 성적 대상화가 되는 건 언제나 여성이다. 저자는 주짓수를 배우면서 여성이 싸움을 모르고 싸우는 방법을 모른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싸움은 여성의 영역이 아니라고 배워왔으며 그 결과 여자들은 폭력에 폭력으로 맞서는 법을 모르게 되었다. 저자는 싸우는 여성이 못되는 가장 큰 장애는 근육과 육체적인 힘의 부족이 아니라 정신에 내재된 싸움에 대한 금기 때문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여성을 자유롭게 하는 힘은 외부가 아닌 여성 내부에서 찾아야 하며 그 시작은 페미니즘이다. 스스로 자신의 힘과 가능성을 찾기 위해 더 열심히 운동하라고 말한다. 운동하는 여자는 강하며 강한 여자는 자신의 삶 뿐 아니라 사회의 부당한 차별과 억압까지 바꾸어 놓을 수 있는 힘을 갖게 될 것이다. 페미니즘의 실천을 위해 운동을 해야 한다는 저자의 말이 알쏭달쏭하면서도 묘하게 설득력을 갖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