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의 품격 - 좋은 사람들이 모이는 7가지 법칙
오노코로 신페이 지음, 유나현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절판




품격있는 관계라니, 그런게 존재하기는 하는 걸까. 이 책에선 한 마디로 명료하게 정리한다.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으면서 적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좋은 관계를 이어가는 것. 어떻게 보면 조금 깍쟁이 같을 수도 있지만 내 영역 네 영역 사이에 분명히 선을 긋고 살자는 이야기다. 우리가 흔히 오지랖이라 부르는 것도 상대의 동의 없이 내가 그의 영역에 침범하는 것 아닌가.

흔히들 '널 위해서' 하는 말이야, '널 생각해서' 한 일이야 라고 말하지만 사실상 그건 모두 자기자신을 위해 하는 말이고 하는 행동이다. 그럼에도 부모라서, 친구라서, 혹은 배우자라서 아무렇지 않게 선을 넘고 영역을 침범하는 일이 잦다면, 어느 한쪽은 스트레스가 되고 관계는 더 이상 품격이 있을 수 없다. 가까운 사이일 수록 <안전거리>를 유지하면 급격하게 브레이크를 거는 - 갑자기 냉정하게 '선을 긋지마' - 식으로 관계를 서먹하게 만들 이유가 없는 것이다. 어려서는 자녀교육이라는 명목 하에 끊임 없이 부모의 간섭을 받지만, 그것도 어느 나이에 이르면 독립을 해야 한다. 그런데 아주 어릴 때부터 자녀의 숙제를 대신 해주고, 자녀의 교우관계까지 관리해주는 부모는 결코 자녀를 독립된 인간으로 키울 수 없다. 부부 사이에도 서로 해야 할 일을 미루고 어느 한 쪽이 떠맡게 되면 그로부터 스트레스가 생겨나고 권력의 지렛대가 기울어 불행한 관계가 된다.

결국 인간관계를 잘 하고, 주변에 좋은 인맥만 있는 사람들을 관찰해 보면 누구보다 자신의 영역을 공고히 지키고 또 남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는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 단순하지만 중요한 원칙을 잊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도 나를 무시하지 않고, 나도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바람직한 관계가 형성될 것이다. 지나치게 많은 친구가 반드시 좋은 것도 아니고 불필요한 간섭과 오지랍엔 적당히 그리고 단호하게 선을 긋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귀찮은 텔레마케터의 전화, 영업사원 등에게도 마찬가지로 단호한 선긋기가 필요하다. 나의 생각과 나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불편한 관계를 굳이 이어나갈 이유는 없으니 말이다. 이 책에는 인간관계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들의 카운슬링 사례와 인맥 지도 그리기 같은 간단한 테스트들이 있는데 에피소드도 재미있고 따라해보기에 재미있다. 아주 쉽지만 잘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것,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놓치고 살았던 것들을 깨우친다면 더 이상 질질 끌려가고 불쾌한 인간관계로 고민하는 일은 대폭 줄어들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