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의 디자인
하라 켄야 지음, 민병걸 옮김 / 안그라픽스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밋줄긋기 

 

-개인의 재능과 장인적 품질을 통합한 우수한 제품은 시장에서 우위성, 즉 '정평'을 얻게 되고 그것은 특별한 '가치'로써 보존된다. 이것은 '브랜드'라는 위력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가 높아 진다고 말할 수 있다. 제품의 품질이나 소재를 보증하는 '상표'는 어느새 세계 시장에서도 그 힘을 발휘하게 되었고 하나의 방법론으로 성장했다. 

-기묘한 것을 만들어 내는 것만이 창조성은 아니다. 익숙한 것을 미지의 것으로 재발견 할 수 있는 감성 또한 똑같은 창조성이다. 

-형태나 소재의 참신함으로 놀라움을 선사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의 틈새로부터 평범하면서도 은근히 사람을 놀라게 하는 발상을 끊임없이 끄집어내는 독창성이야 말로 디자인이다. 

-인간이 느끼는 쾌적함이나 만족감은 다양한 감각기관을 통한 세상과의 교류에서 얼마나 그것을 음미하고 소중히 여기는가에 달려있다. 강한 비주얼로 사람의 눈을 빼앗는 것이 아니라, 오감을 파고드는 듯이 침투하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평범한 디자이너가 미처 보지 못하는 미묘하고 섬세한 지점에서 디자인을 시작한다. 말하자면 무의식영역을 디자인하는 디자이너로 그의 다지인이 효과를 발휘하고 잇어도 사람들은 그곳에 디자인이 기능하고 있다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한다. 그곳에 전략이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눈치채지 못하게 하면서 어떤 행위를 유도하거나 히트상품을 만들 수 있는 디자이너는 실로 ㅜ이협적이 아닐 수 없다.  

-비용을 내리는데 혈안이 되어 소중한 정신을 잃어버릴 수는 없는 일이다. 

-낡은 것 속에 숨어 있지만 오늘날에 더욱 중요해진 가치관을 뽑아내 미래를 절하는 메시지로서 사용하는 그것이 신선하다. 

-디자인은 지능이 아니라 사물의 본질을 찾아내는 감성과 통찰력이다. 따라서 디자이너의 의식은 사회에 대해서 항상 민감하게 각성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도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디자인의 영역을 뒤흔들어 디자인을 세상의 적정한 장소에 재배치해나갈 필요가 있다. 

-선인들이 발견한 길에 의존하여 그것에 반항하거나 일탈을 시도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새로운 상황을 마주대하는 디자인과 그 사상을 다른 차원에서 발견해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디자인은 생활 속에서 태어나는 감수성이다. 따라서 전 후 일본의 생활문화가 그러한 감수성을 키우려면, 구미의 생활문화를 흡수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가는 높은 생활의식이 머저 성숙했어야 하지만, 경제발전을 가속화시키는 것에만 열중하던 전 후 일본의 경제문화 에서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으리라. 

" i said." 

 

나가오카 겐메이는 요점을 적절한 비유속에 감춰 푹신하고 친밀한 느낌으로 말한다면 하라켄야는 디자이너의 방향성에 대해 딱 꼬집어 말한다. 여기 이 리뷰에는 욕망의 에듀케이션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내 독서노트에 있음.) 욕망의 에듀케이션에 대한 부분이 참 좋다.  그리고 다양한 디자이너의 상품들을 사진과 더불어 예시로 제시하여 무릎을 탁치게 하는 아이디어를 엿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