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씨 성을 가진 노비 아이앤북 문학나눔 20
윤영선 지음, 이영림 그림 / 아이앤북(I&BOOK) / 201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박비는 박팽년의 손자이다. 하지만 박팽년이 받은 형벌로 인해 아들이라면 죽임을 당하기 때문에 같은 시기에 딸 박꽃을 낳았던 단이와 아이를 바꾸게 된다. 난 박비와 박꽃이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이 인상깊었다. 그 중에서 박비가 박꽃의 꿈이 화공인 것을 알게되어 현감에게 종이를 얻어서 가져다 주는 것을 보고 박비가 참 속이 깊다 생각했고, 가져다주며 설레어 한것을 보고 순수하다고 생각했다. 박비와 박꽃이 17세가 되는 해에, 단이의 아들인 줄 만 알았던 박비는 자신이 박팽년의 손자임을 알게되고, 또 그 사실을 알게 된 박꽃은 화공이 되겠다며 편지를 남기고 떠나게 된다. 난 여기에서 아씨마님이 박꽃을 단 한 번도 딸이 아니라고 생각한적이 없었다고 말한 부분이 인상깊었다. 후에 신분을 회복한 박비는 박일산이라는 새 이름을 가지게되고 정 3품의 벼슬도 갖게된다. 이 이야기를 읽으며 난 옛날의 신분제도를 이해할 수 없었다. 사람이라면 다 같은 것인데, 노비라는 이유로 교육받지 못하고 다른 대우를 받아야만 했던 이유를 알 수 없었다. 중간에 노비였던 박비가 자신은 노비인데 글을 배워 뭐하냐 했던 말이 떠오른다. 그 때 집주인인 현감이 한글을 가르쳐주며 아는 게 힘이라고  박비에게 꿈을 가지라고 했던 것을 보고 현감이 현명하다 생각했다. 또 한편으로는 현감은 박비의 외할아버지이기 때문에 박비의 출생을 알았다면 더 잘해주고 양반처럼 대우해 줄 수도 있었는데 그러지 않았던 것을 보고 왜 그랬나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 이야기를 통해서 자신의 가문이 몰락할 수도 있었던 상황에서도 끝끝내 세조집권에 반대하였던 단종때의 사육신이 얼마나 나라를 생각했는지도 알 수 있었고, 책을 다 읽고 이 내용이 실제 이야기라는 점에서 놀랐다. 그 시대의 나였다면 박비처럼 살 수 있었을까 생각도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