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의 역사 3 : 자기 배려 ㅣ 나남신서 138
미셸 푸코 지음, 이영목 외 옮김 / 나남출판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푸코는 그의 마지막 저서가 되어버린 <성의 역사> 연작의 세 번째 책인 <자기에의 배려>에서, 쾌락의 활용을 통해 어떻게 자아를 구성하는지, 양생술 같은 자기 배려의 기술을 통해 자아를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연구했던 <성의 역사> 제2권, <쾌락의 활용>의 논지를 이어받아 1,2세기 그리스 로마 사회에서 인간 주체가 성에 대해 어떻게 사색했는지를 탐구한다. 들뢰즈는 푸코에 관한 자신의 저서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 바 있다.
<앎의 의지> 이후에 있었던 긴 침묵의 시기 동안 어떤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아마도 푸코는 이 책에 대해 일종의 불편한 감정을 갖고 있었던 것 같다. 푸코 스스로가 권력 관계에 사로잡혀 있었던 것은 아닐까? 푸코 스스로도 다음과 같은 난점을 제기한다: “자, 이제 우리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선을 넘어서지 못하는 무능력만을 소유한 채로 다른 쪽으로 넘어가게 된다…….”
푸코가 말년에 견지한 주체의 자기관리나 자기반성에 대한 관점은 일찍이 그가 <감시와 처벌>에서 보여준 것과 같은, 근대적 권력이 개인에게 부과한 규율과 훈련에 대한 이해방식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시각이다. <감시와 처벌>에서 주체가 규율과 훈련에 의해서 만들어진 ‘순응적 육체’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면, <성의 역사> 마지막 두 권에서 ‘주체’는 문제설정의 장소이자 자신과 타인들의 관계에 대한 모든 성찰이 집중될 수 있는 핵심적인 주제로 부각된다. 이제 성(性)은 더 이상 권력과 관계 지어 논의될 문제가 아니라 일종의 ‘존재의 기술’로 활용되거나 자기에 대한 관심을 요구하는 ‘자아의 기술’로 활용되는 개인적 윤리 문제가 된다. 지식과 권력, 또는 그 둘 사이의 공모관계에 대하여 누구보다도 날카로운 분석을 진척시켜 왔던 그는 이제 권력의 문제로부터 ‘다스림’의 문제로 건너간다. 담론장치와 권력 작용의 산물이자 효과로서 ‘구성된 주체’라는 문제설정은 이제 신체를 장(場)으로 하는 자기와 자기와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윤리적 행위의 주체로서 ‘구성하는 주체’라는 문제설정으로 대체된다. 그의 비판적 작업에 열광해온 독자들에게 당혹과 의혹을 안겨주는 이러한 변환을, 그 자신의 전복적 사유를 전복하는 이러한 전환을 우리는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더욱이 이러한 전환이 불편한 긴장을 포기하고 안이한 대체물로 옮겨가는 손쉬운 ‘전향’이 아니라, 그 진지함을 지속하면서 그 긴장과 위기 속에서 야기된 전환이라고 한다면?
푸코는 권력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주체란 권력에 의해 생산되는 것이며, 이런 점에서 권력은 생산적이라는 명제를 제시하는데, 그렇다면 우리는 “권력이 없다면 주체도 없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곧 개인이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주체가 되는 데 권력의 작동이 필수적이라면, 이제 권력 없는 주체란 생각할 수 없는 것이 된다. 사람들이 어떤 형태로든 주체로 생산되고 살아가려면 권력은 불가피하다. 따라서 권력은 영원하다. 그렇다면 저항은 대체 무엇을 전복할 수 있는 것일까? 저항은 이제 불가능해지는 것일까?
들뢰즈는 푸코가 ‘권력 너머로는 아무 것도 없는 것일까?’라는 질문에 부딪쳤을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마치 궁지에 빠지듯 그는 권력의 관계 속에 갇혀 들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결국 그는 저항의 가능성, 그 가능성의 지점을 찾기 위해 권력에 대한 미시물리학적 탐사로 나아갔지만, 그 연구의 결과는 권력은 불가피하며 권력의 외부는 없다는 결론이었다. ‘모든 것을 가두는 권력의 벽, 저항 자체를 곤란하게 만드는 권력의 궁지.’ 그런 만큼 그것은 전복의 사상가에게 ‘내적이며 의기소침하게 하는 위기’를 야기하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윤리학적 문제설정으로의 전환은 이런 궁지와 위기에서 발생한다. 푸코는 이제 새로이 질문한다: 권력이 불가피하다면, 권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면, 차라리 권력 (관계) 안에서 ‘저항’을 사고할 수는 없는 것일까? 저항에 대한 이러한 생각은 ‘주체화(subjectivation)’라는 개념으로, 즉 지식의 체계화된 규범이나 권력의 구속적 규범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스스로 부과하는 자신의 임의적인 규범을 통해 스스로를 주체로 만들어내는 것으로 발전한다. 즉 권력이 불가피한 것이고 벗어날 수 없는 것이며 또한 권력 없는 주체가 있을 수 없다면, 이제 그 권력을 통해서 각자가 어떻게 자아를 구성해 가는가가 중요한 문제가 되고, 권력을 통한 자기와의 관계가 중심에 놓이게 된다. 여기서 그는 권력을 통해 자아를 구성하는 ‘기술'에 관심을 돌리게 되고, 이러한 그의 작업은 ‘윤리학’이란 이름을 얻는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에서 ‘자기 자신을 다스리는 자만이 다른 사람을 다스릴 수 있다'는 고대 그리스의 사례가, ‘자기 자신을 배려하고 돌보는', 근대와는 다른 윤리학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떠오른다.
이런 점에서 말년의 푸코가 제시한 윤리학적 문제설정은, 권력이 불가피한 만큼 거기서 벗어날 수 없다는 허무주의가 아니라, 권력의 궁지에서 사유한 (근대) 권력에 대한 비판의 한 형식임은 분명하다. 비록 그것이 그가 이전에 가지고 있던 전복적 사유와 강력한 비판적 문제화 방식을 일정 부분 손상시키고 약화시킨다 하더라도, 그것을 권력의 그물망으로 점철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처세술’ 정도로 폄하하는 것은, 그의 고민과 성찰의 궤적을 읽어내지 못한 부당한 비난에 불과한 것이 아닐까. 그가 직면했던 권력과 저항의 아포리아를 치열하게 고민함으로써, 권력의 작용을 면밀히 분석하고 간파하는 작업과 그것을 비판하고 그것에 저항하는 작업을 동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익혀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