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임수의 심리학 -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김영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직 베테랑 검찰 수사관이 들려주는 속임수의 심리학

의외로 타인을 속이는 사기꾼은 어려운 방법으로 속이지 않는다.

뉴스를 보다보면 '저렇게 뻔한 수법으로 어떻게 사기를 당해?'라는 생각을 한번쯤 해보았을 것이다.


하지만 제 아무리 이성적이고 똑똑한 사람이라도 꼼짝없이 당하는 것이 사기꾼의 속임수이다.

우리가 가장 쉽게 접하고 어쩌면 이미 속았던 것이 있다. 파격적인 세일가격과 인기상품으로 광고하는 것.

그럴듯한 숫자로 원래 저렴한 상품을 세일가로 둔갑시켜 지금이 아니면 그 가격에 구입할 수 없도록 느끼게 하거나,

이미 제품의 가격에 포함되어있지만 무료증정이나 공짜라는 말로 혹하게 하며, 우리의 소비욕망에 더욱 불을 지펴 속이는 것이다.

그만큼 속임수는 이미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단순한 벙법으로 우리를 속이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속임수는 인간의 욕망과 신뢰로 만들어진 유대감, 불안감을 조성하여 삶 속에 스며들어

기업의 마케팅부터 돈을 노리는 사기까지 다양하게 속이고 있다.


낯선 사람에게 속는 이유는 생판 모르는 사람도 같은 경험이 있다는 공통점 하나로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이미 아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유대감이 생겨 쉽게 속게 되는 것이다.


아는 사람에게 속는 이유는 오래 전부터 타인을 경계했기때문에 반대로 아는 사람을 믿고,

공감능력이 발휘되어 그들이 속이는 말에 쉽게 공감하고 의심을 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타인을 경계하는 성향임에도 가끔 속임수에 넘어갈 때가 있다.

모든 속임수의 목적이 돈은 아니였지만 아는사람에게 속았을 때의 상처는 물질적으로 잃은 것보다 크다.

이건 아마 그들이 속이는 순간에도 나는 그들을 믿고 공감하고(사실은 공감해주고) 있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상대방을 속이는 속임수 그 뒤에는 인간의 심리를 움직이는 것이 숨겨져있다.

<속임수의 심리학>은 현직 베테랑 검사 수사관이 들려주는 사기꾼의 속임수법 실제 사례들을 보여주며

더이상 사기꾼의 속임수에 넘어가는 일이 없도록 알려준다.

마음이 약해 상대방에게 잘 속는 타입이라면 꼭 한번 이 책을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