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복 - 누릴 복을 아껴라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양대 국문과 교수의, <누릴 복을 아껴라>라는 의미의 제목, <석복>.
비우고 내려놓음에 대한 색채가 진하게 느껴지는 책이다.

저자인 정민 교수에 대해 사실은 처음 본 관계로 저자에 대해 열심히 앙ㄹ고 책을 읽었다. 리뷰에서도 역시 저자에 대한 이야기가 필수인 만큼, 먼저 저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굉장히 만흔 수필집, 한시의 아름다움에 대한 책 등을 쓴 분이다. 이렇게 많은 책을 쓰셨다니! 놀랐었는데, 책을 읽으며 느꼈던 건 이 <석복>이란 책으로 자신의 (특히나 한시와 관련된 한자의 아름다움에 대한) 깊은 생각들을 꾹꾹 눌러 썼다는 느낌이다. 이렇게 책을 다작하신 분이니 지식의 범위도 굉장히 넓었던게 아닐까 싶었던.

특이하게 이번 리뷰에서는 일단 목차를 하나 가지고 와 봤다. 왜냐하면 이 목차가 곧 이 책의 냄새를 진하게 풍기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렇게 사자성어를 두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보는 책이다. 물론 사자성어의 배경 등을 이야기한다는 것 보다는 거기서 파생되는 저자의 생각을 풀어놓는다 할 수 있다.

생각에 남는 부분 중 하나여서 가지고 왔다. 폐목강심. 사자성어는 사실 처음 들어본 것이었으나, 이 내용이 내게 아주 마음에 들어서 가지고 왔는데, 우리가 오해하며 사는 부분에 대한 일침이 담겨 있다. 
우리는 행복을 어떤 정적인 상태로 본다. 하지만 실제로 행복은 '변화'다. 우리는 기대가 있으면 그에 비해 높을 때 행복을 낮을 때 실망을 가지게 되고 그 감정은 변화가 없이는 일시적일 뿐이다. 그런고로, 마음의 편함에 대해서도 우리는 생각할 부분이 많ㅎ은 것이고 그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게 이 장이다.

위의 부분에서 이어지는 부분이다. 사실 이 책의 주제와도 매우 맞닿는다는 생각에 여기를 가지고 왔는데, 이 석복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바로 <내려놓음>이라는 생각이었다. 그리고 그 대표적인 것 중 하나다. 마음의 평화, 과연 사람의 감정이란 것은 어떻게 흘러가고 그때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 여기에 대한 지혜를, 사실은 어떤 의미에서는 뻔하지만 뻔한 이 이야기를 다시 한 번 강조하는 이야기이다. 알면서도 잘 하지 못하는 내려놓음에 대한 것을 다시 생각 해 볼 수 있었어서 특히나 인상적인 책이었고, 편집이 특별히 좋았다는 생각이다. 책의 편집진 분들께도 박수를 보내며 이만 리뷰를 줄여 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