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인간학 - 약함, 비열함, 선량함과 싸우는 까칠한 철학자
나카지마 요시미치 지음, 이지수 옮김, 이진우 감수 / 다산북스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번에 본 책은 니체의 인간학. 니체를 통해 '착하다'라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새로이 정립하는 책이다. 더 신선한 것은 저자는 니체를 싫어하는 철학자 라는 점. 


표지에서도 느껴질 것이다. 니체의 '까칠함'이. 그러나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알게 될 것이다. 그는 까칠한 철학자가 아니라 단지 솔직했을 뿐이라고. 좀 더 근본적으로 우리가 '까칠"이란 표현 등에서 나오는 '착함 패러다임'은 사실 비겁하고 삐뚤어진 판단방식이라는 이야기를.


위에서 말한 대로 니체를 싫어하는데 니체로 글을 쓴 저자는 과연 누구일까? 물론 철학자인데 그 자세한 부분을 보고자 저자 부분을 일단 발췌 해 본다.

놀랍게도 그는 칸트 전문가인데 니체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이 책에서 그는 니체의 말을 많이 빌려서 이야기를 한다. 그만큼 니체의 강한 언어들이 필요했던 게 아닐까 싶은데 책 내용에서 좀 더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하겠다.


책은 전체적으로 니체를 빌어 '착한사람콤플렉스'를 가진 사람들, 특히 일본인들을 비판한다. 아마 요즘 계속 사회적 문제로 여겨지는 사토리세대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걸까 싶고. 그는 니체를 상당히 험하게 다루는데, 아마 니체의 말을 빌려 자신의 이야기를 전달하고 싶기 때문이 아닐 까 싶다. 그래서 이 책의 단점 아닌 단점이 굳이 있다면 니체를 곡해하게 될 수도 있겠다는 점. 이 책만으로는 니체를 안다기 보다는 저자의 주장을 듣는다는 생각을 하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이 사람을 보라! 라는 니체의 책에서 그를 지금의 젊은이들과 비슷하게 보는 부분. 재미있어서 남겨 두었다. 현대 젊은이들은 이렇다! 라고 단언하는 저자가 조금은 무서우면서도 일견 끄덕여야 하는 부분이 확실함을 인정한다. 

사토리 세대에게 하는 외침! 이란 부제를 달고 싶은 부분. 그래서 일단 남겨 두었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이런 어투가 곳곳에서 묻어나오는 것이 큰 특징이기도 하다.

약자이기 때문에 해악을 자각하지 못해서 더 문제고 위험하다는 말. 이는 어떤 의미에서 모든 것들에 적용되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그 만큼 우리가 위험한 부분들에 대한 자각을 해야 함을 역설하기도 하고. 그래서 인상적인 부분이다. 


선악의 저편을 가져오기도 했는데. 이기주의는 고귀한 영혼의 본질이라는 것이다. 사실은 이 자체만으로는 위험한 해석이 가능하나 무엇보다 인간의 본질에 가까운 생각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이런 니체의 이야기는 결국 우리가 곱씹어 봐야 할 이야기들을 던져준다. 칸트주의자인 저자의 이야기라서 더 재미가 있는지도 모르겠다. 의외로 두껍지도 않아서 크게 부담되지 않고 읽을 수 있는 니체의 인간학. 니체보다는 인간에 대해 알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하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