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자, 잠든 유럽을 깨우다 - 유럽 근대의 뿌리가 된 공자와 동양사상
황태연.김종록 지음 / 김영사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동양 철학과 서양 철학은 일견 걸어온 길이 다른 듯 하나 '인간'에 대한 이해와 '나'의 존재에 대한 생각을 기반으로 하여 뻗어나간 사상들이 아주 다양하여 어딘가에선 꼭 겹칠 수 밖에 없다. 특히나, 서로에 대한 영향력에 대한 연구는 전문 분야에서 아주 활발히 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물론 일반적으로 현재는, 식민지 시대 이후 슬프지만 폭력에 의해 시작된 서구화로 인해 서양 문화, 서양 철학이 전반적으로 뿌리깊은 동양철학의 표현형을 바꾸고 있다는 생각은 들지만 그래도 지금 이 책처럼 동양 철학의 서양 철학에 대한 영향력은 분명 있었을 것. 그리고 나는 그게 생각보다 크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 이번에 읽게 된 '공자, 잠든 유럽을 깨우다'란 책은 상당히 흥미롭게 다가왔다.

김영사에서 나온 이 책은, 공자가 자본주의, 민주주의의 태동 및 기타 서양의 유명한 주요 갈래들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그 시대를 되짚어보며 찬찬히 설명하는 책이다. 저자 설명을 아래 덧붙이겠지만, 저자들은 아주 정통 역사학자라기 보다는 철학, 외교학을 전공했다.

이렇게 전통 역사학이 아닌 철학, 외교학을 전공했다는 점이 이 책이 가지는 강점과 약점을 동시에 설명 가능한 듯 하다.
책 내용은 스포하지 않겠지만 책 전체를 흐르는 느낌은 기본적으로 '융합'과 그 시작이 '공자'라는 점인데 특히 국가간, 대륙 간의 이야기가 이야기를 풀어내는 키워드로 항상 작용한다. 그래서 그런지 저자들의 세계관이 외교학이 있기에 그런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그 점은 이 책의 논의를 끌어가는 데 가장 주요한 역할을 하고 그게 자연스럽게 독자에게 녹아들어서 그 점이 가장 큰 장점으로 생각된다. 이는 대표적인 문장 하나를 가져와서 보여주도록 하자
‘만일 서구 자본주의에 필적하는 경제방식이 동아시아의 전통에서 자연스럽게 산출되었다면, 인류는 야만적이고 불향한 제국주의의 과오를 범하지 않았을 것이다.’ (p.293)
반면, 단점이라 생각하는 것은 주장의 바탕이 되는 근거가 가끔씩 미진하다는 느낌이 들기도 해서 이다. 기본적으로 워낙에 수많은 사료가 존재하기에 그것을 다 보고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얘기이지만 가끔은 논의의 점프가 상당히 급진적으로 진전된다는 느낌이 있기도 했다.
하지만 오해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이 책은 실제로 황태연 교수의 강연을 바탕으로 제작된 <공자와 세계 1~5권>을 바탕으로 김종연 저자가 요약 제작한 것이라 내가 느낀 사료의 부족은 사실 요약에서 온 생략일 수도 있다는 점이다. (원본은 읽어보지 못했기에 함부로 말을 할 수 가 없다.)

여기 이 내용이 이 책에 대한 가장 중점적이고 기둥격인 이야기이라 따로 찍어 두었다. 이는 책의 겉표지에서도 볼 수 있는 멘트이기에 스포가 되진 않는다고 생각하고. 워낙 동서양 철학교류사에 정통한 교수의 글이라 그런지 기본적으로 상당히 방대한 시각으로 기독교적 세계관 안에서 동아시아 문화를 받아들이던 모습들을 세세히 잘 이야기한다.

이 책은 아주 흥미로운 시사점들을 많이 이야기한다. 공자를 동양 예수에 비교하던 것이나, 라이프니츠가 남겨놓은 사료에서 발견하는 동양문화에 대한 영향 등등. 그리고 이 책의 챕터 중에서 이 부분이 특히 핫하고 강렬하게 말하기에 사진을 찍어 두었는데 바로 '산업혁명'역시 중국이라는 것.
물론 문장 그대로의 말은 아니고, 그만큼 동양 사상에 대해 영향력을 인정하자는 취지이고 나도 적극동의하는 부분이다.
철학이든 사상이든 그런 공부를 하다 보면 동양에서 가지고 있는 서양에 대한 이상한 서구컴플렉스를 느끼곤 하는데 그에 대한 정상적인 벗어남의 측면에서 이 책은 상당히 잘 쓰여졌고 김 작가님의 의도대로 쉽게 쓰여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기독교에 완전히 억눌려있던 시기의 이야기가 진행될 때 상당히 기독교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숨기지 않기에 혹자는 읽으면서 불편해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
아무튼 기본적으로 즐거운 이야기를 진행한 좋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