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 생각의 기술
박종하 지음 / 김영사 / 201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수학, 생각의 기술.
요즈음 공부를 하다 보면, '수학'이라는 분야를 내가 너무 시험공부로만 접했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특히 근 1년 전부터는 정말 이생각이 많이 들어서, 동적평형 등의 수학관련 서적을 많이 읽기도 하고 기사도 관심있게 보기도 한다. '수학'이라는 분야는 내가 하고 있는 생명이라는 분야와는 또 다른 매력으로 정말 재미있는 분야이다.
이런 '수학'에 대해서, 박종하 저자는 사람들에게 실용적인 혹은 사람에게 와닿는 실례를 들어 친숙하게 만들고자 했다. 그런 의미에서 쓰여진 책이 바로 <수학, 생각의 기술>이다.

저자 박종하 씨가 어떤 분인지 궁금하기에 띠지의 저자 정보를 첨부해 본다

보면 알 수 있듯, 수학교육과를 나와서 기업 대상 창의력연구소를 운영하는 분이다.
아무래도 강연에 잔뼈가 굵은 분인 듯 하여 책도 설명이 유려하고 술술 읽히게 쓰였던 것이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목차를 보면 상당히 '수학'을 여러 시각에서 재미있게 다루는 느낌이다.
여기서 역시 개념과 수학을 다루는 사람들의 시각을 볼 수가 있는데, 정말 근본적인 깊은 부분에서 작용한 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많이 느끼고 생각하던 부분은 '수학'이 과학의 가장 대중적이고 통일된 '언어'라는 느낌이다. 내가 있는 생명분야는 비교적 수식표현을 등장시키는게 물리학 등의 분야에 비해서 눈에 띄진 않겠지만, 근저에는 그 어떤 가설이나 실험도 '수학'적인 베이스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여기서 살짝 말하듯이 (책 얘기를 자세히 할 수는 없지만) 이 세상의 패턴과 생각의 방향 등 상당히 중요한 코어 부분들을 '쉽게'와닿게 하는 데도 수학이 결정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
왜냐하면 수학이란 것은 세상을 '어렵게'보는게 아니라 최대한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내려서 '간단히'말하려 하는 노력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상당히 내가 동감하는 부분도 많았고 배우는 부분도 많았다.

역시 책 얘기의 아주 일부지만 재미있는 사진이 있어서 첨부한다.
이미지를 직접 가져올까 하다가 저작권이 신경쓰여 책을 첨부했는데
저 사진을 본 남자의 100%는 고릴라를 찾지 못한다고 한다.
그러나 나는 자랑스럽게도(?) 고릴라를 봤다. 하지만 그와 별개로 아래의 설명에 100% 동의를 하는데 바로 '집중'이다. 인간이 가진 장점이면서 커다란 단점.
많은 것을 놓치고 우리는 그렇지 않다는 '착각'속에 살곤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이 해주는 이야기는 나에게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해준다.
'마음'을 공부하는 학도로서 '수학'은 정말 매력적이다. 너무 실력이 부족하여 감히 수학을 즐기지 못하고 있는 듯 하지만 더 노력할 생각인 분야이기에 더더욱.
'수학'이란 것이 대중들에게 더 친숙하고 쉽게 다가가길 소망해 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책은 칼라풀하고 디자인이 매우 잘 되어있어 읽는데 또 큰 도움을 준 부분 역시 언급하고 리뷰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