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개의 태양보다 밝은 - 우리가 몰랐던 원자과학자들의 개인적 역사
로베르트 융크 지음, 이충호 옮김 / 다산북스 / 201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두꺼운 과학책, 내가 아주 좋아 하는 종류의 책이다. 이번에 세상에 나온지 50년쯤 된 책이자, 과학사에 큰 획을 그었다고 평가받는 책. '원자과학자들에 대한 책'이다. 


저자인 로베르트 융크는 돌아가신지 20여년이 지난 분이다. 저널리스트인데 아래 설명을 보도록 하자.

사실 이 책은 내용이 워낙 방대하기에 설명을 구구절절 하기는 의미가 없을 듯 하다. 책의 스타일은 일단 History talking 스타일이다. 저명한 원자과학자들의 연구를 그냥 나열하는 그런게 아니라, 그들의 상호작용 그들의 일상생활 그들의 스타일 등등을 다 섞어서 마치 역사서를 저술하듯 쓴 책이다. 그 안에서 그들이 어떻게 이런 발상을 했고 어떤 상호작용으로 시너지를 얻었는지 등등을 알 수 있다.
쉽게 말해서 우리나라에서는 좀 생소한 과목일 수 있는 과학사 적인 마인드로 쓰여진 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를 확실히 보여주는 부분이 있어 가지고 왔다.

이렇게 마치 역사의 야사같은 이야기를 전개함으로써 그 과학자의 특징 중 일부를 확실히 보여주고 우리에게 더 친근감이 들게 한다. 또 이런 덕분에 그들의 이론에 대한 토대가 더 쉽게 이해되게도 하기에 굉장히 좋은 서술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단점은 그 학자에 대한 오해가 생길 수 있다는 것정도.

과학, 특히 원자과학에서 히틀러 미국 핵 이야기는 빠질 수가 없다. 그래서 여기서도 그것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매우 길게 다루어지기에 확실하게 쓰여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이건 챕터의 넘어가는 부분 중 하나이다.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으나, 그만큼 전쟁의 역사에 대해 많이 다룬다는 걸 보여주는. 

이 책은 고전 과학책이기에, 소장가치가 있다는 느낌으로 천천히 봐도 될 듯 하다. 두껍기 때문에 통독을 하려 들지 않아도 되니 부담없이 읽길 추천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