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로니아공화국
김대현 지음 / 다산책방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블로그에 거의 다산 책만 올리는게 아닌가 싶은데..ㅎㅎ 이번에도 역시나 다산북스 측의 제공으로 읽어보게 된 책, 장편소설 '나의 아로니아 공화국'이다. 아마 다들 처음 들어볼 것이다. '아로니아 공화국'? 바로 소설에서 새로 창조되는 나라이다. 영 엉뚱하지만 마치 '남이나라공화국 (남이섬)'이 떠오르기도 한...

이 책은 혼불문학상을 수상했던 김대현 씨의 소설로 그의 홍도 라는 책은 상당히 유명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의 저자 소개를 보자.

저자 소개를 보면 보이다시피 놀랍게도 영화 시나리오와 TV 단막극 등의 작가로도 활동하는 분이다. 그래서 그럴까? 이 책은 대개 이야기의 전개가 쫄깃하고 서사가 빠르면서 스릴이 있는 특징이 있다. 

책의 내용은 간단하다. 이 나라의 이런 저런 점에 문제를 느끼고 개인적으로도 문제가 생긴 주인공. 자신의 나라를 만드는데 착수한다. 여기서 펼쳐지는 여러 이야기.

이 책의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라 남겨 두었다. 이 책은 이렇게 편하게, 혹은 과할 정도로 많은 구어체의 등장이 있고 거기에 일상 대화임을 충분히 살리려 한 단어들이 많이 쓰인다. 멍충아 라든지 ㅎㅎ 기본적으로 시나리오 작가임을 알 수 있는 구절이기도 하는게, 실제로 이 책은 영화화도 염두한 게 아닐까 싶은 부분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다음 장면을 보면서 또 ㅎ

쾅, 쾅, 쾅. 여기 이걸 가져온 이유는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이자 포인트이기도 하지만(혹시나 스포가 된다면 죄송하지만 이 이상의 사건이 많기 때문에!) 영화화를 염두한 듯한 대사 지문의 스타일이 느껴져서 남겼다. 책이 인기가 높아지면 실제로 그렇게 될 수도 있겠구나 싶었던 부분.

마지막은 여러 사람들의 추천사를 가지고 와 봤다. 이준익 감독의 추천사가 특히 재미있다. 특히 내게 와닿았던 것은, 한국의 소위 '천민자본주의'라 불리는 돈으로 좌지우지되는 세상풍토에 지친 이들에게 큰 위안이 될 것이라는 것. 그리고 그래서 이 이야기가 도움이 될 수도 있는, SF가 추구하는 새로운 지평이라는 이야기가 와닿았기 때문이다. 
 그렇다, SF소설이 가지는 스낵적인 요소와 약간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는 정도의 이야기 플롯. 이 만으로도 충분히 즐겁게 볼 수 있는 소설이 탄생한 게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